운송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수시로 어느 곳에나 항해하는 배를 말한다. 부정기선은 주로 원유나 석탄, 철광석, 양곡 등 벌크 운반에 이용된다.
반력이나 부재의 응력이 힘의 평형 방정식만으로는 구할 수 없고, 변형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될 때의 구조물의 상태. 판별식은 평면 구조물에서는 m n + s + r - 2k>0 입체 구조물에서는 m n + s + r -3k>0 여기서, n : 반력수, s : 부재수, r : 강접합재수, k : 절점수. redundant
부정정 가구(架構)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에 따라 생기는 2차 응력.
부정정인 구조물. 반력에 대해서만 말할 때 외적 부정정, 부재 응력에 대해서만 말할 때 내적 부정정이라 한다. [1] 한 지점의 파손 : 지점이 파손하여 수평 방향의 저항력을 잃어도 안정성은 유지된다. [2] 한 부재의 파손 : 경사재 중 1개가 파손하여 저항력을 잃어도 안정성은 유지된다.
평형의 3조건과 변형 조건에서 반력이나 단면력을 구하는 라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라멘은 거의가 부정정 라멘이고 그 해법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지만, 보통 휨각법이 사용된다. 그림은 문형 라멘이다. 반력수 R 6, (부정정 차수 N 6-3-03, 3차의 부정), 힌지 수 h 0.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는 반력(反力) 및 부재 응력을 정할 수 없는 라멘.
외적 부정정 구조에 있어서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는 크기를 정할 수 없는 반력.
면내 응력뿐만이 아리고 면의 전단력이나 휨 모멘트를 무시할 수 없는 셸.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 응력이 정해지지 않으므로 이렇게 부르는 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