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539/1604)

운전 기일을 일정하게 정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운행하는 열차.
운송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수시로 어느 곳에나 항해하는 배를 말한다. 부정기선은 주로 원유나 석탄, 철광석, 양곡 등 벌크 운반에 이용된다.
반력이나 부재의 응력이 힘의 평형 방정식만으로는 구할 수 없고, 변형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될 때의 구조물의 상태. 판별식은 평면 구조물에서는 m n + s + r - 2k>0 입체 구조물에서는 m n + s + r -3k>0 여기서, n : 반력수, s : 부재수, r : 강접합재수, k : 절점수. redundant
부정정 가구(架構)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에 따라 생기는 2차 응력.
부정정인 구조물. 반력에 대해서만 말할 때 외적 부정정, 부재 응력에 대해서만 말할 때 내적 부정정이라 한다. [1] 한 지점의 파손 : 지점이 파손하여 수평 방향의 저항력을 잃어도 안정성은 유지된다. [2] 한 부재의 파손 : 경사재 중 1개가 파손하여 저항력을 잃어도 안정성은 유지된다.
평형의 3조건과 변형 조건에서 반력이나 단면력을 구하는 라멘.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라멘은 거의가 부정정 라멘이고 그 해법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지만, 보통 휨각법이 사용된다. 그림은 문형 라멘이다. 반력수 R 6, (부정정 차수 N 6-3-03, 3차의 부정), 힌지 수 h 0.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는 반력(反力) 및 부재 응력을 정할 수 없는 라멘.
외적 부정정 구조에 있어서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는 크기를 정할 수 없는 반력.
면내 응력뿐만이 아리고 면의 전단력이나 휨 모멘트를 무시할 수 없는 셸.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 응력이 정해지지 않으므로 이렇게 부르는 일이 있다.
힘의 평형 조건만으로는 반력 및 부재 응력을 정할 수 없는 아치.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