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 등의 경사재를 그 중간점에서 고정함으로써 기둥의 길이를 감소할[세장비(細長比)를 작게 한다] 목적으로 2차적으로 설치하는 경사재. 일반적으로 무응력이 되도록 배치한다.
기름처럼 물보다 비중이 작은 것을 물 위에 띠워 물과 분리시키는 유분 분리법과 현탁 입자가 모여서 생기는 프록에 기포를 붙여서 물과의 비중차를 크게 하여 부상 분리시키는 방법이 있음. 후자는 또 배수 속에 기포를 넣어 부착시키는 부유선광법과 가압 공기를 용해시킨 물을 감압시켜서 석출되는 기포(직경 30∼120μ)를 부착시켜서 부상시키는 가압 부상으로 나뉘어짐. 부선광법은 비교적 진한 액에 사용되며 기포프록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포집제(계면활성제 등)를 첨가함.
화산분출물 중에서 다공질의 지름 4mm 이상 암괴를 말하며, 경석이라고도 한다. 외관상 비중이 작아서, 물에 뜰만큼 가볍다. 마그마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때 압력이 갑자기 감소한 결과로 마그마 중의 휘발성 성분이 빠져나가서 수많은 기공이 생긴 것이다.
본바닥의 굴착면에서 절리. 시임 등에 의하여 암반과의 접촉이 태반은 단절되고, 자연적으로 혹은 가벼운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본바닥에서 떨어지려고 하는 암석 괴편. 터널. 굴착면 등에서 전락하든가 구조물 기초로서 지지력 이외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석괴 포장의 일종. 보통 벽돌형의 석괴를 시멘트 콘크리트의 기초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쿠션으로 하여 깔고 줄눈을 모르타르로 채운다. block pavement
굴착 또는 발파 등이 이루어진 막장에 균열이 들어가 이탈하기 쉬운 암석. 자갈 속에 포함된 경석과 같은 불량 골재를 말하는 경우도 있다.
(선박법 제2조) 부선이란 자력 항행능력이 없어 다른 선박에 의하여 끌리거나 밀려서 항행되는 선박을 말한다.
가교 부근의 육상에서 전부 조립된 교량을 하천 내의 폰툰(pontoon)으로 지지하고 이동하여 가설하는 방법으로,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즉 교량 거더 전체를 폰툰으로 지지하여 이동하는 방법과 교량 거더의 한쪽 끝을 육상 또는 교상(橋上)에 지지하고 다른 쪽 끝을 폰툰으로 지지하여 당겨내는 방법이다. 또한 지지되어 있는 교량 거더를 상하로 움직이는 데 조수간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배에 물, 밸러스트(ballast) 를 이용하는 경우 및 잭에 의한 경우
항만부나 대하천의 하구부 등에서 대선(臺船)에 의해 거더를 가설하는 공법, 지상에서 가조립한 교량 거더를 플로팅 크레인선으로 배달아 올려 가설하는 플로팅 크레인 공법과 대선상에 벤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교량 거더를 가조립한 후, 예인(曳引)하여 가설하는 대선 공법이 있다. 어느 경우나 선박에 의해 중량물을 지지하여 가설 작업을 하기 때문에 적당한 수심이 있고 흐름이 완만해야 된다. 또한 대선 공법에서는 거더 밑 높이도 비교적 낮게 제한된다. 능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