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535/1604)

부영양화한 호소(湖沼). 조류(藻類)의 이상 번식에 의한 악취의 발생, 어류의 사멸 등이 일어나기 쉽다. - eutrophication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암모니아·질산염·인산염·규산염 등의 영양물질이 많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부영양화는 처음에는 당해 해역에서 생산력을 증가시키지만, 나중에는 생물순환체계를 악화시킨다는데 문제가 있다. 부영양화는 생물량과 분해를 증가시켜 산소고갈과 생물의 대량폐사를 일으키는데, 적조가 그 예이다. 부영양화에 의한 손실이 정상화하기까지는 수년이 걸리며, 그 이유는 썩은 유기물질들이 영양물질을 물 속에 다시 방출시켜 영양물질이 풍부한 부영양화를 지속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공장폐수·생활하수·농지로부터 흘러드는 비료성분 등 때문에 부영양화의 진행이 점점 빨라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부영양화는 식물플랑크톤의 종구성을 변화시켜, 공급된 영양염을 가장 빨리 흡수할 수 있는 종이 우점종이 된다. 인산염과 질산염의 부영양화는 규조류에서 편모충류로 종구조를 변화시킨다. 먹이사슬이 변화함에 따라 부영양화된 지역은 전에 그곳에서 살던 많은 종들에게는 부적당한 지역이 된다.
호소학이나 생태학에서 쓰이고 있는 용어. 생물 생산성이 낮은 빈영양호가 세월의 흐름에 따라 영양염(질소, 인)의 축적으로 생물 생산성이 높은 부영양호로 바뀌어 가는 현상.최근 생활 배수 등의 유입에 의한 인위적인 부영양화가 문제화되고 있다. - nitrogen removal, eutrophiclake
호수, 연안해역, 하천 등의 정체된 수역에 생활하수나 공장폐수 또는 비료나 유기물질 등에 의해서 물 속에 영양염류(암모니아, 아질산염, 질산염, 유기질소화합물, 무기인산염, 유기인산염, 규산염 등이 있다), 특히 인산염이 많을 경우 식물성 플랑크톤이 과잉 증식하여 물 속에 있는 산소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 수질이 나빠지며 결국에는 산소결핍으로 어패류가 죽기까지 하는 현상을 부영양화라 한다. 강이나 바다, 호수 등에 유기물이 들어오면 물 속에 있는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며, 분해산물은 자연 생태계의 물질순환의 사이클(생산 - 주로 녹색 식물에 의한 광합성, 소비 - 동물, 분해 - 박테리아)내에서 교환된다. 이 사이클이 순조로우면 자연은 균형이 잡혀, 소위 자연의 자정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 된다.
펌프선으로 흙을 배출할 경우 배출능력이 거리에 비해서 부족할 때는 배사관의 도중에 1대 또는 몇 대의 중계 펌프를 넣어 배출 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선원수첩은 있으나 해기사 면허가 없는 해원을 말하며, 갑판원, 기관원 등이 부원에 속한다.
수중에 현탁하고 있는 불용성의 물질로, 수질 오탁의 지표가 되며, 배수 기준의 한 항목이다.
물과 부유 토사를 토사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채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용구.
부유된 유기물질을 호흡기관 또는 촉수를 이용해서 걸러 먹고사는 해양생물로서, 현탁물식자라고도 하며, 저서생물 중에 현탁물식자가 많다.
입경 2mm이하.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 SS. suspended solids의 약칭. 또는 현탁 물질이라고도 함. 수중에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은 수질 오탁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하천에 오니상을 형성하거나 또 부유물이 유기 물질인 경우에는 이것이 부패하여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소비시킴. 또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하여 폐사시키며, 빛의 투과를 방해하고, 식물의 광합성에 장해를 줌. 어류의 산란장, 김 양식장 등에의 침착은 때때로 분쟁의 원인이 됨.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