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니어의 0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눈금을 새기고 좌우 양방향으로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버니어. 트랜싯에는 이런 형의 것이 많다.
지구자기장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자석의 바늘을 무게중심에서 받쳤을 때, 자침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복각은 I로 나타내며, 자력의 아래방향 복각을 (+)로 하고, 북반구에서는 반드시 N바늘(남반구에서는 S바늘)이 내려간다. 보통 사용하는 자석의 바늘은 S바늘을 무겁게 하여 복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양단에서 같은 회전 방향의 휨 모멘트를 받는 부재의 변형 상태를 말한다. 부재 양단에서 곡률의 부호가 다르다.
도로 및 이것에 준하는 곳을 개반공법에 의해서 지하구조물 건설할 대, 굴착에 앞서서 노면교통 및 지상의 사용조건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설치하는 지표면을 덮는 널빤지이다. 주철제, 콘크리트제 등이 있는데 제각기 장단점이 있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보, 바닥판, 벽체 등의 휨 인장 응력을 받는 쪽과 압축 응력을 받는 쪽의 양쪽에 배치한 주철근.
보 단면의 인장측. 압축측 양쪽에 주근을 넣은 철근 콘크리트 보. 단근보의 대비어.
복근보에서 압축측 철근의 단면적의 함 ac를 인장측 철근의 단면적의 합 at로 나눈 것.
2개의 프리즘의 한 변을 겹쳐 서호 그 두변을 반사경으로 하여 90도 또는 180도의 방향을 정하기 위한 기구.
저수로의 좌우 양안. 드물게는 좌안 또는 우안만에 고수부를 갖고 저수지 유수폭(貯水池流水輻)에 비해 고수시 유수폭이 격증하는 단면을 말한다. 큰 하천은 개수에 의하여 복단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평판에 의한 골조 측량의 한 방법으로, 측점마다 그 후의 측점에 정위(定位)하여 그 전의 측점의 방향 및 거리를 측정하고 그것을 도판 위에 기록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평판을 이동하여 가면서 골조를 그려가는 평판에 의한 트래버스 측량. 이에 반해 단도선법은 1점 걸러 평판을 설치하고 컴퍼스로 도판의 방향을 정하여 거리를 측정하여 축척에 의해 도면 위에 측점을 플롯하는 방법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