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에 주는 변형과 그에 대응하는 복원력과의 관계. 복원력이 변형에 비례하는 경우에 선형,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선형이라 한다.
진동 해석에서 각부 스프링의 성질을 타나내는 변형과 하중의 관계. 선형. 비선형으로 구별된다. 탄성 범위 내에서는 통상 직선으로 나타내어진다. 탄소성 범위에서는 Bi-linear 나 Trilinear, 나아가 이력 루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 쓰이고 있다.
리벳 이음에 있어서 1개의 리벳의 전단력을 받는 장소의 수가 2면인 경우를 말한다. 2면 전단 리벳이라고도 한다.
연체동물에 속하는 한 강으로서, 복족류는 연체동물 중 수적으로 가장 번창한 무리로서 동물에서 곤충류 다음으로 큰 동물군이며, 고둥류라고도 한다. 달팽이·고둥·소라·우렁 등이 대표적인 복족류이다. 대부분의 복족류는 나선형으로 말린 1개의 패각을 갖고 있으나, 전복이나 삿갓조개는 납작한 원추형 패각을 가지고 있으며, 복족류는 담륜자·피면자 유생을 거쳐 성체가 된다.
철근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에 있어서 절곡 철근과 스터럽으로구성되어 경사 인장 응력에 저항하기 위한 철근. 경사 방향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한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보에서 압축 철근과 인장 철근과의 중간에 재축(材軸) 방향으로 배치하는 철근.
철근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 등에 있어서 인장 철근. 압축 철근 모두 유효하다고 생각하여 설계한 직4각형의 보를 말한다. 보의 높이에 제한을 받을 때난 연속보의 중간 지지점 위 등에서는 복철근 단면으로 한다.
동일 방향으로 굴곡하는 반경이 다른 원곡선을 직접 접속하여 그 점에서 공통 접선을 갖도록 조합한 곡선. 클로소이드 곡선이 적용되기 이전에는 도로의 평면 선형의 곡선으로서 종종 이용되었다.
상이한 재료의 부재나 판을 조합시켜 한 몸의 가구(架構)로서 작용하도록 형성된 구조. mixed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