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486/1604)

바람에 날려 하얗게 부셔진 파를 말한다.
여과집진 장치의 일종. 전기 청소기의 형식은 백 필터의 일종임. 집진대(集塵袋)의 재질로는 양모(羊毛), 나일론, 테트론, 비닐론, 유리섬유, 아스베스트, 흑연 섬우 등이 사용됨. 대의내면에 더스트가 체적, 압력 손실이 커져, 집진효과가 감소된 경우에는 대를 진동시켜 더스트를 제거함. 수초~수분 사용으로 초층 (初層)이 형성되며, 1㎛ 전후의 더스트도 포집됨. 집진율은 99%에 이름.  
석재나 콘크리트 등의 표면에 생기는 흰 결정. 석재인 경우는 석재 중의 소량의 알칼리 금속이 시멘트 속의 석고나 공기 중의 아황산 가스와 반응하여 황산 소다가 되는 것이고, 콘크리트인 경우는 주로 시멘트의 가수 분해에 의해서 생기는 수산화 석회 때문이다.
해조류가 많은 암초지대에서 해조류가 고사·소멸하고 그 공간을 석회조류인 산호말류가 점유하여 이들이 죽게 되면 암반이 백색으로 변하는데, 이 현상을 백화현상이라 한다. 최근 우리나라의 동해안에서는 백화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으며, 수심 20m의 해저까지 파급되고 있다. 원인으로는 해양생태계 내에서 초식동물인 성게 등에 의한 해조류 섭식설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 및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 연악역 오염 등에 의한 환경변화설로 나뉘어 설명되고 있다.
+자형의 철골주 등에서 주재(主材)의 좌굴 등을 방지하기 위해 주재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띠강.
고낙차에 사용하는 수압 철관으로 용접관 주위에 고장력강의 밴드를 끼워서 보강한 것.
선로의 바닥에 쓰이는 자갈, 부순돌, 광물의 찌기 등을 말한다. 철도에서는 본선로에 있을 밸라스트도상의 바닥 두께 및 종별을 아래의 표처럼 정하고 있다.(캔트구간의 바닥 두께는 안쪽 레일의 바로 밑의 값)
밸러스트와 노반 사이에 끼우는 고무제의 매트. 흙 노반상에서는 밸러스트의 파고 들어감이나 진흙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노반상에서는 빌러스트의 세립화를 방지함으로써 궤도 파괴를 감소함과 동시에 소음, 진동을 경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철도 선로의 도상(道床)을 체질하는 기계. 궤도상을 달리는 것과 궤도의 옆에서 작업하는 것이 있다.
철도 선로의 보선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 도상(道床)을 긁어 내거나 긁어 들이는 데 사용되며 토사를 체질 분류하는 역할도 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