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이나 미량원소와 같이 적은 양만 필요하지만 생물체가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으로부터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물질을 말한다. 철·망간·구리·아연·몰리브덴·바나듐·코발트와 같은 미량원소는 해양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필요한 미량영양염이다.
해수에서 10-6몰 이하의 농도로 존재하는 화학원소를 말하며, 사실상의 모든 금속은 10-9몰에서 10-12몰의 미량으로 존재한다.
채취한 그대로의 천연산 자갈에서 소요의 크기 이외의 것을 체질하여 제거한 것. 30cm 이하 10cm 이상으로 스펙이 나와 있으며 도로의 펴고르기에 사용된다.
0.1mm 이하 크기의 미세한 생물로서, 주로 단일세포 또는 균사로써 몸을 이루며 생물로서 최소 생활단위를 영위하며, 조류·균류·원생동물류·사상균류·효모류·바이러스 등이 이에 속한다. 자연계에서 미생물은 동식물의 시체 및 배설물 등을 분해하는 청소부 역할을 함에 따라 환경 보존에 이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간편한 시설로써 계속 배양시킬 수 있는 생물자원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고, 생명공학에서는 미생물의 자체 특징을 이용하여 식품·의약품·공업생산품 등을 생산하고 있다.
화학농약에 의한 환경오염 및 해충 등의 농약 면역성이 문제가 되는 가운데 무해하고 깨끗한 것으로 여겨지는 미생물 농약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BT균, 그러나 BT균은 같은 유인 식중독균(세레우스균)과 비슷한 독성을 인간과 가축에게 끼칠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BT균의 독성을 유전자공학으로 개조해 보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중이다. 미생물 농약으로는 그 밖에도 진균(곰팡이)나 바이러스가 검토되고 있다.
현미경적 미소생물의 총칭. 개체가 미소하고,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는 생물에 대한 일반용어로서 순수한 생물학적인 구분은 아니다. 엄밀한 정의는 어렵지만 생활활동을 영위하는 기본단위라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하다. 넓은 의미로는 다음과 같이 진핵생물·원핵생물이 포함된다. 즉, 원생동물·후생동물 중 일부 미소동물, 단세포성 조류(식물성플랑크톤을 포함), 진핵균류(변형균류·곰팡이·효모·버섯) 등의 진핵생물과 남조·방선균·일반세균·리케차·클라미디아 등의 원핵생물이다. 버섯의 경우, 미생물로 하지 않는 이유는 자실체가 크기 때문이고, 미생물로 하는 이유는 생활 기본단위인 균사가 곰팡이의 균사와 같이 현미경적으로 미소하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적 미소구조이므로 초미생물이라 부르는 일도 있다. 〔미생물과 현미경〕 미생물의 발견은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시작되었고, 그 구조가 개량되면서 더욱 많은 미생물이 발견·확인되었다. 17세기초, 네덜란드의 A.레벤후크가 발명한 현미경은 렌즈가 1개뿐인 단식현미경이었는데, 이어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를 가진 복식현미경이 등장하고, 이것에 의해 확대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현재는 이런 광학현미경뿐만 아니라 전자현미경이 발명되어 투과형에서 주사형(走査型)으로의 개발이 진행되고 거듭 개량되어 유효 확대율이 향상되고, 높은 해상력(解像力) 및 입체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생태계에서의 미생물의 역할〕 미생물에는 생산자·소비자·분해환원자(환원자)가 있다. 언뜻 보기엔 정지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수권(水圈)·지권(地圈) 안에서도, 해양미생물군, 담수미생물군, 토양미생물군이 구성되고, 각각 앞의 3자에 의해 물질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3자 가운데, 분해환원자로서의 중요 역할을 하고 있는 미생물은 균류(세균 포함)이다. 〔응용면에서의 미생물〕 농학에서 취급되는 미생물에는 식물병원미생물·발효미생물·부패미생물·식용미생물·약용미생물이 있다. 의학에서는 병원미생물과 식중독미생물이 있다. 이렇게 보면 미생물과 인간의 관계가 얼마나 밀접한 것인지 알 수 있다. 특히 병원미생물에서는 숙주의 생체내에서만 번식하는 절대기생성인 것과, 어떤 때는 기생하고 어떤 때는 독립생활을 영위하는 조건적 기생성인 것으로 구분된다. 또 발효미생물과 부패미생물은 물질분해를 하는 미생물이라는 의미에서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실제로 동종의 미생물에 의해 발효도 일어나고 부패도 일어난다. 인간의 입장에서 보아 유리한 분해를 하는 것은 발효미생물, 인간에게 불리한 분해를 일으키는 것은 부패미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 식용미생물과 약용미생물은 단백질, 비타민 등의 미량성분을 체내에 축적·유지하는 미생물이고, 인간은 각각의 목적에 따라 이용하고 있다. 효모나 녹조류 등이 이런 예이다. 그러나 항생물질, 호르몬, 아미노산, 그 외의 유기산 등을 합성하는 미생물(균류)은 그것들을 균체 외부에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효미생물로 취급된다. 미생물은 다른 생물에 비해 생활사(生活史)가 짧고 인위적 관리가 비교적 간단하므로 유전학적 연구나 생리·생화학적 연구의 실험재료로 사용되어 기초생물학적 여러 현상의 해명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미생물은 절대기생성인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관 내에서 순수분리배양이 가능하다. 19세기 후반, 독일의 R.코흐에 의해 처음으로 세균의 순수배양이 행해졌다. 이것을 시초로 다른 미생물에도 이 배양법이 응용되었으며, 배양기술의 발전은 미생물 이용의 가능성을 무한하게 넓혀주고 기초생물학으로서 미생물학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콘크리트 표면 또는 모르타르 표면에 생기는 미세한 모리털 모양의 균열.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 현상 초기에 발생하는 수가 많으며, 표면 양생을 충분히 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구조물(부재)이 변형했을 때 힘의 작용 방향 및 작용점의 변위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고, 회전 변형이 충분히 작으며, 휨 변형에 의한 곡률이 변위의 2차 미분으로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변형. small deformation
구조물(부재)이 변형했을 때 힘의 작용 방향 및 작용점의 변위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고, 회전 변형이 충분히 작으며, 휨 변형에 의한 곡률이 변위의 2차 미분으로 나타내어질 정도의 변형.
부재 및 구조물에 미소 변형을 가정하여 구축된 탄성 해석 이론 및 소성 해석 이론. small deformation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