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는 전단 변형에 의해 생기는 일그러짐이지만 금속 재료 등이 소성역에서 결정 구조가 바뀌는 경우에도 쓴다.
sleeve expansion joint
가로 이동의 기구가 붙어 있는 잭.
흙이 전단 파괴하여 어떤 곡면을 따라서 흙이 상대 이동하는 것. 이 면을 미끄럼면이라 한다. 옹벽의 안정, 기초 바닥면 이하의 흙의 지지력을 구할 때 생각하는 파괴 형식.
고력 볼트 마찰 접합부에서 마찰 저항이 끊기고 주(主) 미끄럼이 발생할 때의 하중. slip load
미끄럼 파괴를 일으키는 경우의 이동층과 움직이지 않는 지반과의 경계면. slip surface
어패류에 축적된 유기수은을 경구섭취(經口攝取)함으로써 발생하는 신경질환으로 일본에서는 의료 구제법에 의한 공해병으로 알려져 있음. 그 증상은 시야 협착(視野狹窄), 운동실조(運動失調), 언어장해, 지각(知覺)장해등임. 증후군(症候群)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타 청력 장해, 보행장해, 정신 장해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등 그 병상은 대단히 복잡다단(復雜多端)함. 일본 구마모또현 미나마따 시(態本縣水候市)와 그 주변의 어민들에게 원인불명의 신경질환 증후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1956년에는 78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그 중 18명이 사망했음. 그리하여 일본 미나마따병 대책위원회(態本大學도 참가)의 연구에 의해서 그 원인어패류를 경유한 중금속 중독으로 추정되어(1956년11월), 1959년 7월에는 독물로 판정되었으며 유기 수은설이 나돌았음. 1968년 9월 일본 후생성은 공식 견해하에서「메틸 수은이 어패류를 오염시킨 것을 명시하고 오염된 어패류를 대량 취식한 사람만이 피해자임 」이라고 공표했음. 1969년 6월, 일부 중독자와 사망자의 유족은 질소 주식회사에 대하여 「질소 미나마따 공장」은 1932년 경부터 아세트 알데히드 합성 촉매로서 황산 수은을 사용, 그 합성 과정 중에 메틸 수은이 부생되었으나 이것을 함유한 배수를 처리하지 않은 채로 미나마따 만으로 방류하여 미나마따 병을 발생시켰다고 함.
메틸수은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공해병의 일종으로 1950년대 일본에서 발생한 바 있다. 그 증상은 시야협착, 언어장애, 지각장애, 청력장애, 보행장애 등 신경계통의 장애를 일으켜 세계 지구촌에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효시가 된 사실이다.
미니킨은 쇄파암의 산정 공식으로 최대동수압을 채택하여, 그림 (a)와 같이 포물선형으로 파압을 증가하고 있다. 또 전수압(全水壓)은 이것에 파쇄에 의한 정수압(靜水壓) (b)를 가하고 있다. H : 쇄파고(m), L : 수심 d에서의 파장(m)
미래의 어느 시점에 실현할 것으로 상정, 혹은 제안되는 도시상. 이상 도시와 혼용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