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층의 마무리 두께와 비슷한 비교적 큰(40∼80mm 정도) 단일 낟알 지름의 주골재를 똑같이 고루 깔고 이것이 충분히 다져질 때까지 전압하여 채움재를 틈 사이에 채워 마무리하는 공법인데 주로 노반에 쓰인다.
압기(壓氣) 터널 굴착의 버력 운반이나 터널 구축에 필요한 재료의 반입을 하기 위한 록.
암반대수층내의 지하수, 용천수 등 수질의 안정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상태의 깨끗한 물을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먹는데 적합하도록 제조한 샘물을 말한다.
종래 광천수 또는 맑은 물 등 다양한 개념을 정리 1995년 1월 5일 법률 제4908호 제정공포된 먹는 물 관리. 법상의 물은 먹는데 통상 사용하는 자연상태의 물과 자연상태의 물을 먹는데 적합하게 처리한 물을 말한다고 하여 개념을 정립하였다.
다수인에게 먹는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개발하였거나 자연히 형성된 약수터 샘터 및 우물들을 말하며 이들 시설에서 상시 이용 인구가 50인 이상으로 시장·군수가 지정하였거나, 50인 미만이되 시장·군수가 특별히 수질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정하는 시설
먹이사슬
생물계의 먹이관계를 그 생물의 식성에 따라 계통적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군집 내부에는 기능에 따라 크게 세 종류의 생물이 있는데, 생산자인 식물과 소비자인 동물, 분해자인 박테리아이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하여 유기물을 합성하고, 동물은 식물을 섭취하고, 사체나 배설물 등은 데트리터스 식자에 먹히고 나머지는 박테리아가 분해하여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로 다시 전환시키게 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먹이사슬이라 하며, 먹이사슬의 각 단계를 영양단계라 한다. 실제적으로 먹이사슬은 선으로 간단히 연결되어 있지 않고, 포식과 피식의 관계가 여러 생물들 사이에서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더 적당한 이름은 먹이망이다.
해양에서는 식물플랑크톤(규조류 등 : 생산자)→동물플랑크톤(물벼록·물고기의 유생 등 : 1차 소비자)→작은 물고기(정어리 등 : 2차 소비자)→큰 물고기(다랭이·참다랭이 등 : 3차 소비자)가 먹이사슬의 한 예이다.
생태계 내의 생산자가 비생물적 요소인 공기, 수분, 토양 등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면 이 유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로 전달되는데, 이와 같이 생산자와 소비자의 여러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관계를 말한다. 즉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등 생태계 구성요소 사이에서 일어나는 먹고 먹히는 일련의 사이클이다. 먹이연쇄를 통하여 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되는 것이다.
(1) 먹실을 써서 직선을 표시하는 것. (2) 1) 이음, 맞춤의 가공, 부재의 부착을 위해 그 형상, 치수, 위치 등의 선을 부재 표면에 표시하는 것. 2) 벽, 바닥, 기둥 등에 심의 위치, 마감면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 것. (3) 철골 공사의 한 공정으로, 현치수 형판이나 자에 의해 강재 절단이나 천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 금긋기는 가공.조립의 기준이 되므로 미리 금긋기 부분에 물감을 칠하고, 금긋기 바늘. 컴퍼스. 펀치로 표시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