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400/1604)

1층의 마무리 두께와 비슷한 비교적 큰(40∼80mm 정도) 단일 낟알 지름의 주골재를 똑같이 고루 깔고 이것이 충분히 다져질 때까지 전압하여 채움재를 틈 사이에 채워 마무리하는 공법인데 주로 노반에 쓰인다.
압기(壓氣) 터널 굴착의 버력 운반이나 터널 구축에 필요한 재료의 반입을 하기 위한 록.
암반대수층내의 지하수, 용천수 등 수질의 안정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상태의 깨끗한 물을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먹는데 적합하도록 제조한 샘물을 말한다.  
종래 광천수 또는 맑은 물 등 다양한 개념을 정리 1995년 1월 5일 법률 제4908호 제정공포된 먹는 물 관리. 법상의 물은 먹는데 통상 사용하는 자연상태의 물과 자연상태의 물을 먹는데 적합하게 처리한 물을 말한다고 하여 개념을 정립하였다.  
다수인에게 먹는 물을 공급할 목적으로 개발하였거나 자연히 형성된 약수터 샘터 및 우물들을 말하며 이들 시설에서 상시 이용 인구가 50인 이상으로 시장·군수가 지정하였거나, 50인 미만이되 시장·군수가 특별히 수질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정하는 시설
먹이사슬
생물계의 먹이관계를 그 생물의 식성에 따라 계통적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군집 내부에는 기능에 따라 크게 세 종류의 생물이 있는데, 생산자인 식물과 소비자인 동물, 분해자인 박테리아이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하여 유기물을 합성하고, 동물은 식물을 섭취하고, 사체나 배설물 등은 데트리터스 식자에 먹히고 나머지는 박테리아가 분해하여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로 다시 전환시키게 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먹이사슬이라 하며, 먹이사슬의 각 단계를 영양단계라 한다. 실제적으로 먹이사슬은 선으로 간단히 연결되어 있지 않고, 포식과 피식의 관계가 여러 생물들 사이에서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더 적당한 이름은 먹이망이다. 해양에서는 식물플랑크톤(규조류 등 : 생산자)→동물플랑크톤(물벼록·물고기의 유생 등 : 1차 소비자)→작은 물고기(정어리 등 : 2차 소비자)→큰 물고기(다랭이·참다랭이 등 : 3차 소비자)가 먹이사슬의 한 예이다.
생태계 내의 생산자가 비생물적 요소인 공기, 수분, 토양 등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면 이 유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로 전달되는데, 이와 같이 생산자와 소비자의 여러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관계를 말한다. 즉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등 생태계 구성요소 사이에서 일어나는 먹고 먹히는 일련의 사이클이다. 먹이연쇄를 통하여 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되는 것이다.  
(1) 먹실을 써서 직선을 표시하는 것. (2) 1) 이음, 맞춤의 가공, 부재의 부착을 위해 그 형상, 치수, 위치 등의 선을 부재 표면에 표시하는 것. 2) 벽, 바닥, 기둥 등에 심의 위치, 마감면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 것. (3) 철골 공사의 한 공정으로, 현치수 형판이나 자에 의해 강재 절단이나 천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 금긋기는 가공.조립의 기준이 되므로 미리 금긋기 부분에 물감을 칠하고, 금긋기 바늘. 컴퍼스. 펀치로 표시를 한다.
물질의 파쇄·선별 기타 기계적 처리 또는 퇴적에 따라 발생하거나 비산하는 입자상 물질.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