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전산(電算)을 합쳐 하나의 시스템으로 생각하여 토털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컴퓨터와 인간이라는 전혀 다른 2자간에서의 정보의 수수를 말한다. 인간에게 있어서 사용하기 쉬운 컴퓨터라는 관점에서 그 개발이 진전하여 메뉴 선택에 의한 조작이나 멀티윈도 등이 개발 실용화되고 있다. - GUI
연직 배수구를 타설할 때의 케이싱.
지표에서 깊이 30km의 모호로비치 불연속면에서 지하 2,900km의 구텐베르크 불연속면, 즉 외핵까지의 사이를 가리킨다. 지구 부피의 82% 이상, 질량에서는 68%를 차지한다.
지구의 내부 구조 중 지표로부터 약 2900km에 있는 불연속면까지 사이. 맨틀 상부는 Mg가 많은 암석으로서 점차 철의 양을 증가해 간다.
지구의 맨틀 내에서 물질이 열 대류작용처럼 이동하는데, 대륙이동설·해저확장설·조산운동과 같은 지각변동이 이 원인으로 일어난다는 이론이다. 대류의 속력은 연간 수cm이며, 대류의 원인이 되는 열은 방사성원소의 붕괴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보고 있다. 맨틀열대류설이라고도 하며, 1928년 A.홈스가 발표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대양저 밑의 맨틀로부터 물질이 용출하는 곳이 해저산맥이며, 그곳으로부터 양쪽으로 수평방향으로 물질이 이동하여 다시 맨틀 안으로 흘러 들어가는 곳이 해구이다. 지각열류량이 해령의 중추부에서 높고 해구에서 낮은 것이나, 자화된 암석대가 해령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있는 것, 암석대의 연령이 해령에서 해구로 갈수록 오래된 것 등은 맨틀대류를 설명하는 좋은 예이다.
2점의 좌표를 (x1, y1), (x2, y2)로 했을 때 {x1 -y1}+{x2 -y2}로 나타내어지는 거리.
하수관 속의 점검이나 청소, 관의 연결이나 접합 등을 위해 사람들이 출입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관의 방향, 구배 또는 관경이 변하는 곳에 만들지만 직선부에 있어서도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된다.
하수관의 검사나 청소할 때의 출입구 및 환기창으로서 관 지름, 경사의 변화점, 굴절합류점 및 관의 직선부분이 길때의 중간지점에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