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 내에 박힌 말뚝의 지지력. 지지력은 말뚝의 주변 마찰력과 선단 지지력에 의해 정해지며, 말뚝박기 시험, 말뚝의 하중 시험 등에 의해 판정한다. 마찰 말뚝에 의한 기초의 침하량을 산정하는 경우, 말뚝 길이의 1/3만클 위쪽에서 말뚝 하중이 지반에 전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말뚝을 박을 때는 위치 및 축선을 관측하여 주의해서 시공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대한 수정은 박는 초기에 하는 것이 중요하다. 편심과 경사의 제한량은 D를 말뚝의 직경이라면 위치는 D/4 한편 10cm이내, 경사는 1/100 이내, 이것을 넘을 때는 수정해야 한다.
이미 만든 말뚝의 표준지지력은 다음과 같다.
시험 말뚝에 하중을 가하여 하중과 침하량의 관계를 측정하여 말뚝의 지지력을 정하는 시험.
말뚝의 허용 지지력 내에서 침하 또는 부동(不同) 침하가 허용 한도 내에 들도록 하는 힘.
부재가 허용되는 응력도 이내에 있을 때의 연직력을 말한다. 말뚝의 극한 지지력 또는 기준 지지력(말뚝 지름의 10% 침하시의 지지력)을 안전율로 나눈 값. - allowable bearing capacity
말뚝 본체의 재료로 정해지는 강도. 이음에 의한 저감을 포함하여 생각할 때도 있다.
은백색의 윤이 나는 금속 원소의 한 가지. 공기 중에서 산화하기 쉽고 화학적 작용도 강함. 철(鐵) 다음으로 널리 분포하는데, 제강(製鋼)과 합금 등에 널리 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