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제 공법 중 돌출류의 일종. 말뚝을 박고 그것을 비스듬하게 연결하여 가로대의 간격을 벌려 못을 박아 울타리로 한 것. 말뚝 세우기라고도 한다.
땅속에 타입한 말뚝이나 시트 파일을 뽑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 해머를 거꾸로 부착하여 타격하면서 윈치로 감아 올려 뽑는다.
말뚝의 설계를 하거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재하 시험을 하는 경우가 많다. 재하 방법에 따라 연직, 수평, 인발로 분류되며 말뚝의 개수, 하중이 걸리는 법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재하 시험은 실제의 말뚝에 하중을 가해 지지력을 확인하기 때문에 지지력의 결정법으로서 신뢰성이 높다.
말뚝을 박어 구조물의 하중을 기초 또는 기초 슬래브에서 지반으로 전달시키는 지정.
(1) 말뚝을 박을 때 말뚝 머리의 보호와 해머의 타격을 유효하게 전하기 위해 말뚝 머리에 씌우튼 캡. 강철제의 고리와 나무나 헌 타이어로 만들어 진다. (2) 기초 콘크리트가 PC말뚝의 중공부(中空部)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말뚝 머리에 부착하는 캡.
말뚝 타설후, 말뚝과 말뚝 사이의 지반을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하여 고르게 하는 것. 말뚝을 타입하면 말뚝이 흙을 배제하므로 지반면이 상승하기도 한다. 또한중굴(中掘) 공법이나 프리 보링 공법에서는 배출한 흙이 지반 위에 모인다. 이 때, 최후로 말뚝간 굴착을 할필요가 있다. 말뚝을 최종 지반 높이에서 타설하지 않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말뚝간 굴착은 소형의 백 호 (back hoe) 또는 인력 등으로 하지만, 말뚝체를 손상하지 말아야 하며, 소
pile collar, pile ring
1) 연약한 지반에서는 각부(脚部)에 敷板이나 敷角을 이용한다. 2) 시설 또는 가시설물 등에 장치할 때는 내력을 확인한다. 3) 각부를 말뚝 또는 쐐기 등으로 고정한다. 4) 궤도나 미끄럼으로 이동하는 것은 레일 크램프(cramp) 혹은 제동장치 등으로 고정한다. 5) 보조로서 맨윗 부분을 안정시킬 때는 3개 이상으로 하고 비슷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각 방향을 안정시킨다. 6) 밸런스 웨이트로 안정시킬 때는 架臺에 확실히 고정시킨다.
1) 감아올리는 와이어 로프는 해머가 최저의 위치에 있을 때 동체를 2번 감을 수 있는 길이로 남긴다. 2) 와이어 로프의 말단은 감는 동체에 크램프 혹은 클립 등에 의해서 혹실히 설치한다. 3) 와이어 로프와 해머의 설치는 클립 또는 크램프 등에 의해 확실하게 설치한다.
말뚝의 근원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말뚝 모자 또는 말뚝고리 등을 부착하여 보강한다. butt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