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콘크리트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압축의 연응력(緣應力)이 외력의 작용에 의해 제로로 된 상태를 말한다.
디태치드 피어란 구조적으로는 잔교에서 바닥 판을 생략한 것인데 각주부와 이것을 연결한 보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보에는 레일 주행식의 교형 크레인이나 로오더 등의 대형 하역 기계의 다리가 올라간다. 레일 주행식 크레인은 레일의 부등침하나 변위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각주부에 비스듬이 말뚝을 이용하는 구조가 많다. 보에는 직접 레일이 부설되므로 주의를 한다.
전체에 대해서 특정 부분의 상세를 말한다. 도면화한 것을 상세도라 한다.
파워 셔블의 토사를 떠내는 부분.
버킷을 사용하여 경토반을 굴착 또는 준설하는 선박. 선체에 설치한 긴 암의 선두에 버킷이 있고 암을 회전시켜 버킷으로 토사를 떠올려 이것을 토운선에 옮겨 준설한다. 대형의 것은 디퍼(버킷)의 크기가 4.6m3 정도, 공칭 능력은 250m3/h 정도이지만 토질 깊이 기타 조건으로 능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스퍼드 또는 디퍼암의 조작으로 이동한다.
파워 셔블의 디퍼를 붐에 부착시킨 손잡이.
상자형의 비자항선인데 선상의 앞 선회태 위에 준설기를 싣고 앞 양현과 뒷중앙부에 스페이드(spade)를 장치하고 있는데 육상의 파워 서블형식의 것이다. 앞 양현 스페이드는 바께쓰의 굴착 반력에 견딜 수 있고 뒷 중앙의 4각형 스페이드는 선체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단단한 토질이나 암석을 깬 후의 준설에 알맞다. 일반적 준설능력은 바께쓰의 용량에 1시간의 조작회수를 곱한 이론량이며 실제는 토질이나 깊이에 따르나 공칭 능력의 50% 정도이다.
보의 높이가 그 스팬의 1/2 보다 커지면 보 아래 변의 응력도는 보통 보의 휨 응력도에 비해 급격히 커지게 되어 보 전체의 휨 응력도의 분포는 비선형으로 된다. 이런 보를 디프 빔이라 한다.
오수를 지중에 깊게 매설한 강관 내를 순환시켜 미생물의 구실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시켜서 정화하는 방법.
명목 가액의 통계값에서 물가 변동에 의한 변동을 제외하고 실질화하기 위한 지수. 건설 투자액 등의 통계값마다 이에 대응한 지수가 산출된다. 주택과 비주택의 구성 변화 등 통계값의 구성에 맞추어서 산출되는 점이 통상의 물가 지수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