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 강재를 판 두께 방향으로 큰 구속을 주었을 때에 생기는 것으로, 강판 표면과 평행한 균열. 용접 시공 중 또는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것으로, 강재 표면과 평행한 테라스라고 하는 파면이 생기며, 그것이 점점 계단상으로 연결되어 큰 균열로 발전한다. 라멜라 티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계시부터 적합한 용접 이음을 선택하고, 판 두께 방향의 응력 또는 변형이 적은 용접 시공을 하며, 내(耐) 라멜라강을 채용해야 된다. 판 두께가 두꺼울수록 더욱 현저해
압연 강재의 결함의 하나. 잉곳 속에서 국부적으로 집합한 기포나 개재물이 압연 후에도 층상의 균열로 되어 남아 있는 것이다. 용접시에 균열로 나타나는 수가 있다. - lamella tear
NATM 의 명명자로, NATM을 개발, 발전시킨 오스트리아인 기술자. - NATM
철골이나 목조에 모르타르 칠을 할 때 기초로 이용하는 쇠그물 모양의 제품. 그레이팅, 익스펜드 메탈이라고도 하며, 두꺼운 것은 그대호 통로의 덱에 판대신에 사용되고 있다.
(1) 상호간의 금속이 면으로 접해 있을 때 생긴 극간에 끼워 넣어, 접촉 상태를 조정하는 금속판을 말한다. (2) 심초(深礎) 공법의 흙막이에 사용되는 흙막이판의 일종으로, 안쪽에는 플랜지가 있고, 볼트나 클립 안쪽에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콘크리트를 아래에서 위로 타설하지 않고 위에서 아래쪽에 역으로 타설하는 것이나다. 터널에서는 터널 상부(아아치부)부터 복공콘크리트를 하고, 측벽, 인버트(invert)순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말한다. 상부절반 단면선진 저설도갱 선진방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수로의 비탈면 보호를 위해 각종 재료에 의해 내장한 수로.
(1) 터널에서 굴착 후의 본바닥을 피복하는 것. 복공 콘크리트는 굴착 후 가능한 한 빨리 시공하는 것이 원칙이다. 굴착 후 지산(地山)의 이완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심부(深部) 및 하중이 증대한다. 따라서 지질이 나쁜 경우 가능한 한 빨리 강도(强度)가 큰 복공 콘크리트를 시공하면 지산의 이완 진행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또는 동바리공을 콘크리트로 충분히 피복함으로써 국부적인 변형, 좌굴을 방지함과 동시에 여러 기(基)의 동바리공이 튼튼하게
입갱(立坑) 내를 운행하는 운반기나 기재의 진동 방지를 위한 설비. 두줄의 가이드 로프(스캐펄드 로프)를 가이드로 운행된다.
기존의 공공 교통 기관의 네트워크화에 주안을 둔 환승 시스템을 말한다. 이종의 공공 교통 기관의 환승 시설 정비나 환승 할인 운임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이용자의 환승에 대한 물리적, 경제적, 심리적 저항을 줄여 공공 교통 기관의 이용을 촉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