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 포장의 구조 설계시, 각 구성층의 두께가 표층용, 기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에 의한 층의 몇 cm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계수.
포장을 구성하는 어느 층의 1cm 두께가 표층이나 기층용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의 몇 cm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값을 말한다.
자동차나 트럭 등이 비탈길을 오를 수 있는 능력. 비탈면과 수평면과의 각도 또는 tanθ(正接)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트럭 12 ~ 20°, 불도저 30°, 파워 셔블 17°정도이다.
도로의 종단 물매가 급하고 길게 계속되어 있으면 트럭 등의 중량 차량의 속도가 떨어짐으로써 다른 자동차의 자유로운 통행을 방해하여 도로의 기능이 저하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선을 추가하여 속도가 저하한 차량을 주행하도록 하는데 이 차선을 말한다.
자침이 가리키는 자북선과 지구의 진북선은 일치하지 않으며, 어떤 각도를 가지고 있다. 이것을 자기 편각이라 하며, 지구상의 자기 편각이 같은 점을 잇는 선.
항로표지 시설 중 광파표지의 하나로서, 해상의 항로상 위험한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 항행금지 지점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고정 건축물을 설치하여 선박의 좌초를 방지함과 동시에 그 위험을 표시하는 표지시설이다.
[1] 연약 지반 위에 깔아 주행로로 하는 비계. [2] 목교(木橋)의 발판. [3] 비계, 교량 등 작업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판(步板)이라 한다.
[1] 작업장에서 작업자가 보행하기 위한 발판위에 걸친 판. 또는 연약한 지반 위에 깔아 보행로로 삼는 발판. [2] 교량 위에 작업자 보행요으로 선로 방향으로 까는 판.
화살표 등을 써서 방향을 지시하는 표시법. 누구에게나 통용하도록 심벌 마크를 사용한다.
버스의 새로운 운행 형태의 하나로, 다이어그램(diagram : 운행 시간표)에 의한 정시 운행이 아니라 이용자의 호출(demand)에 따라 버스가 그 장소로 와서 이용자를 태우고 목적지로 향하는 것. 호출은 일정한 장소에 있는 콜 버튼 및 전화로 한다. 행선은 일정한 루트 상의 장소로 제한하는 수가 많다. 승합제이므로 최적 운행이 되도록 운행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