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처리의 한 방법. 폭기실 (曝氣室) 내의 호기성 (好氣性)미생물을 다량 포함하는 활성 오니에 환기 장치에 의해서 다량의 공기를 보내어 오수와 충분히 혼합 접혹시키고,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켜서 정화하는 방법. 표준 활성 오니 방식,장시간 폭기 방식, 분주(分注)폭는 방식 등이 있다.
활성오니법은 생물의 화학적 처리법에 속하는 처리법이다. 폭기조에서 폭기(aeration)하여 산소를 공급해서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만들어서 그 작용으로 배수중의 유기물을 오니와 수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활성오니를 이용하여 하수를 정화하는 방법. 미리 침사(沈砂), 진제(塵除) 등의 전처리를 한 하수를 에어레이션탱크에서 활성 오니와 혼합하고, 이것에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면 활성 오니의 표면에는 하수 속의 유기물이 흡착하며, 흡착한 유기물은 호기성 세균,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 산화작용을 받아 활성오니로 변한다. 이 혼합액을 최종 침전지로 유도하여 상징수(上澄水)는 방류하고, 침전에 의해 준리한 활성 오니의 일부는 에어레이션 탱크로 반송된다. 잔류물
상수도 정수법의 하나로 냄새. 색. 합성세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을 사용하는 방법. 활성탄으로 처리될 수 없는 냄새는 오존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병용하는 수가 많다.
각 작업은 활살선으로 표시되며 각각에 시간 견적이 가능하다. 이들 작업은 공사의 내용이 증대하여 아무리 복잡해져도 선행, 병행, 후속의 세가지 관계로 분류된다. 활성도의 크기는 작업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며 화살선(-)의 길이와는 무관하고 화살선의 아래에 크기를 기록한다.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며 내용은 화살선의 위에 기록한다.
하수처리장에서 통상 행하는 처리법. 처리조 안에 공기나 산소를 폭기시켜 호기성 세균이나 원생동물 등 주로 유기물을 산화시켜 흡수 분해하는 미생물 집단(활성오니)의 작용을 이용하는 방법.
다공질로 흡착성이 강한 탄소질의 재. 목재. 갈탄. 토탄을 활성화제와 함께 건류하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해 만든다. 야자나무 열매껍질로 만드는 야자껍질 활성탄은 유명하다. 분말상태와 입자상태가 있다. 탈취, 탈색 외에 오염물질의 흡착 제거에도 쓰인다.
활성탄이 갖는 흡착력에 의해 유기물(색도, 취기 성분을 포함) 등을 흡착 제거하는 처리, 상하수도의 고도 처리에 쓰인다.
흡착, 흡수 능력이 큰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공질의 탄. 수용액, 유지, 광유 등의 탈색제, 독가스 등의 흡착제. active carbon
물질계의 퍼텐셜 에너지의 산과 처음의 평형 상태에 있어서의 최저 에너지와의 차. 산화 등 화학 반응의 난이의 척도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