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조절댐의 크레스트 게이트나 고압 게이트를 조절항 홍수 조절을 하는 방법. 댐의 게이트를 조작하여 홍수 조절을 하는 댐을 인공 조절식 댐이라 한다. 일정량 방류 방식은 일정량의 방류량이 미리 정해져 있어 저수지로 들어오는 유입량이 이 일정량과 같아질 때까지는 저수지로부터 이 유입량을 그대로 방류하며, 일정량에 도달한 이후는 그 일정량을 방류하고 나머지의 유입량을 저수지에 가두어 홍수 조절을 하는 방식이다. 일정률 조절 방식 또는 일정률 저류(貯
홍수에 의한 재해를 방지 또는 경감하기 위해 하천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홍수 조정의 방법으로서는 일정량 방류 방식, 일정률 조절 방식, 자연조절방식이다.
홍수 조절 댐은 댐에 의해 형성된 저수지에 홍수 유량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수하여 하류의 홍수 유량을 작게 함으로써 홍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 또는 경감하기 위한 시설이다. 치수(治水) 댐 , 방재(防災) 댐, 홍수 조절 댐이라는 댐의 호칭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들은 모두가 홍수 조절만을 위해 만들어진 전용의 댐을 의미한다. 상기의 전용 댐 이외의 댐에 의한 홍수 조절은 다목적 댐으로 된다. 다목적 댐이란 홍수 조절의 목적으로 계획된 댐에 의해 생긴
하천 상류부에 적당한 장소를 선택하여 댐을 건설하고 여기에 홍수의 일부를 저류(貯留)하여 하류의 홍수 유량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저수지. flood-control reservoir, retention reservoir
홍수파가 전파되는 상황을 계산으로 구하는 것. 홍수 추적 계산법은 연속식을 기초로 하는 수문학적(水文學的) 방법과 운동 방정식을 이용하는 수리학적 방법으로 대별된다. 수문학적 방법은 다시 저수지에 있어서의 방법과 하천에 있어서의 방법으로 나뉘며 전자에는 펄스법, 계수법 등이 있고, 후자에는 마스킹(masking)법, 저류 함수법에서의 송수 추적 계산법 등이 있다. storage routing, streamflow routing - plus m
택지의 발생 등에 따른 유출계수의 증가에 의해서 하류수로에 일어나는 홍수의 범람을 방지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조정 못이다. 개발전 또는 개발중의 변화량을 피이크 커트(peak cut)한다.
무강우일(無降雨日)이 상당히 계속되어 강의 유량이 안정된 상태에서 큰 비가 내려 강의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후, 다음의 안정된 상태로 되돌아갈 때까지의 기간을 홍수 기간이라 하며, 이 가긴의 하이드로그래프를 홍수의 하이드로그래프라 한다. 큰 비가 시간적으로 집중하여 내렸을 때의 하이드로그래프는 그림과 같이 비대칭 분포 곡선으로 된다. 큰 비가 내리는 방법에 있어서 강약을 보여주며 장시간 내린 경우의 하이드로그래트는 복수의 봉우리를 가진 곡선으로 된
- division of reservoir capacitu of multipurpose dam
하나의 강줄기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향하여 각 지점의 홍수의 하이드로그래프를 동일 시간축 위에 겹쳐서 그린 것이 그림 a이며, 이것을 비유량(比流量)으로 환산한 하이드로그래프를 그려보면 그림 b와 같이 물결이 상류로부터 하류로 향하여 전파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을 일반적인 파동 현상에 비유하여 홍수시의 하이드로그래프를 홍수파라 하고 있다. 또한 홍수의 하이드로그래프의 모양을 표현하기 위하여 파형이라고 하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