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흐름의 상태는 크게 저수(低水)와 홍수로 나누어진다. 홍수는 사회 통념적으로는 큰 비나 눈의 녹음으로 하천의 유량이 하도(河道)로부터 넘치는 범람을 가리키지만 전문적으로는 범람을 동반하지 않아도 홍수라 부른다. 홍수가 아닐 때의 강의 흐름의 상태를 저수라 부를 때 홍수가 일어나 강의 수위가 높아져 있는 상태를 고수라 하며, 그 때의 수위가 고수위이다.
홍수에 의해 크게 재해를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경우에 일반 사람에게 경고하기 위해 기상 관서가 내는 특별한 예보.
홍수시 모래와 자갈을 다량으로 포함한 유수가 강폭이 넓은 곳이나 물매가 완만한 곳에 이르면 유속이 떨어짐으로써 그곳에 모래와 자갈을 침전, 퇴적시켜 비교적 물매가 급한 계상(溪床)을 만든다. 이 때의 물매를 홍수 물매라 하며 이것은 일시적인 것으로서 그 후의 작은 물 흐름에 의해 침식되어 평형 물매로 이행한다.
제방 대신에 철근 콘크리트, 석재 등을 이용하여 소단면으로 하여 만든 것. 제체(堤體)의 상부를 수직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된 하나의 벽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것을 흉벽(parapet)이라 한다.
홍수의 범람을 방지하는 것. 제방. 하도의 정리, 방수로. 유수지. 홍수 조절 저수지 등을 설치한다.
홍수 유량을 댐 하류의 하도에 안전하게 하류시키기 위하여 댐에 부속된 수리 구조물. 월류형, 자유 낙하식, 슈트식, 터널식, 샤프트식(모닝 글로리형)등 각종 형식의 홍수토가 있다.
강우가 일정 시간 T사이, 일정한 세기 γ로 유역 A에 고르게 내리는 것으로 하고, 유하(流下) 속도를 일정으로 하면 측수(測水) 지점에 나타나는 최대 유량 Qm은 Qmf×γ×A가 된다. 여기서 f : 유출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