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연속제(不連續堤)의 일종. 제방의 하류단을 해방하고, 다음 제방의 상류단을 제방 내로 연장하여 중복하게 만든 불연속 제방. 급류 하천에 축조되는 일이 많다.
수로 단면의 평균 유속을 구하는 공식. v 0.84935ChR0.63I0.54 여기서, Ch : 유속 계수, R : 경심 (徑深), I : 동수 구배
구조물 또는 부재에 응력 및 변형의 증감을 발생시키는 일체의 작용
구조 설계에서 소정의 하중 혹은 하중 효과의 값에 하중 계수를 곱하여 필요한 내력의 평가를 하는 설계법.
하중 및 내력의 확률 모델에 입각하여 목표로 하는 안전성의 레벨을 확보하는 설계식을 하중 계수, 내력 계수를 써서 표현한 설계법. - limit state design
구조물이나 부재에 하중이 작용한 경우, 측점(測點)의 변형량과 하중의 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곡선.
콘크리트 댐의 변위 및 응력을 계산할 경우에 이용되는 계산법. 일반적으로 작용 하중을 댐의 수평 요소와 연직 요소의 양쪽으로 분담하여 지지한다고 생각하여, 양 요소의 변위가 양 요소의 공액점에서 동등해지도록 양 요소에 하중을 분배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다원 연립 방정식을 이용하여 양요소에 하중을 분배하는 경우와 시험 계산에 의해 분배하는 경우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시산(試算) 하중법이라 한다. 아치 댐의 경우 공액점에 있어서는 양요
각종 시험에서의 하중 증가 속도를 말한다. 통상 단위 시간에 증가하는 하중 또는 응력도의 크기로 나타낸다.
재료 시험이나 구조 실험에서 하중 증가의 비율에 입각하여 재하(載荷)를 하는 것. stress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