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는 관 속을 자연스럽게 흘러가며 압송되는 것이 아니므로 처리장까지의 낙차 손실을 적게 하도록 관의 배치 및 매설을 한다.
(1) 하수도에서 오수 또는 오수와 빗물을 흘리기 위한 관.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염화 비닐관, 도관(陶管) 등이 쓰인다. (2) 하수도에 있어서의 오수나 빗물을 모으기 위한 배수거.
하수관거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필요하다. 1) 외압강도가 높아야 한다. 2) 관거의 내면이 평골, 3) 산알칼리에 대한 부식성에 견디어야 하고 모래나 조약돌 등에 대한 내마모성이여야 한다. 4)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5) 시공에 있어서 이음이 용이하고 수밀성 혹은 신축성이 높아야 한다.
절단방향에서 본 접합방법은 1) 관정접합 2) 관수위접합 3) 관중심접합 4) 관저접합 5) 계단접합으로 분류된다.
(1) 오수, 지붕면이나 지상의 빗물 외에 일반 하수나 지하수 등을 배제하기 위한 관 또는 홈을 말한다. (2) 공기 조화 설비에서 증기의 응결수, 냉각 코일에서 생기는 결로수. 슬래브의 배수용으로 루프 드레인으로서 사용된다.
sewage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만드는 각종 시설의 총칭. 하수 배제 시설(하수 관거)과 하수 처리 시설(하수 처리장)로 구성된다.
대상으로 하는 구역에서 총인구에 대한 이용자 인구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그 밖에 총면적에 대한 정비 면적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면적 보급률이 있다.
(1) 하수를 배제하기 위해 설치되는 배수 관로. 하수거. 펌프 시설. 종말 처리장 등을 포함한 시설. 사업 주체. 처리 단계. 처리 구역에 따라 사설 하수도. 공공 하수도. 개량 하수도. 완전 하수도. 유역 하수도 등의 분류가 있다. (2) 하수도에서는 일반 가정, 사업소, 점포, 공장 등으로부터의 생활, 영업 및 생산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배수를 말하며, 건축 설비에서는 변소 계통의 배수만을 가리켜 잡배수와 구별한다. soil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