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탄 연소 보일러에서 배출 가스를 집진기로 채집한 애쉬(미분탄 연소시에 얻어지는 재)를 시멘트 또는 시멘트 제조과정의 클린커(clinker)와 혼합해서 제조한 것을 말한다. 플라이 애쉬의 혼합물인데 A종(10%이하), B종(10∼20%), C종(20∼30%)으로 분류한다.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에 흡사해서 수화열 및 수축이 적은 때문에 매스 콘크리트나 도로포장에 쓰인다.
콘크리트 혼화제의 한 종류인데 분탄을 연소시킬 때 생기는 먼지(dust)를 집진기로 수집한 것을 시멘트에 혼합해서 사용한다. 플라이 애쉬는 수경성은 없으나 시멘트의 수화에 의해서 생기는 수산화칼슘과 서서히 반응하여 불용해성의 화합물을 만든다.
발전소 등의 미분탄 보일러의 연도 가스로부터 집진기로 채취한 애시로, 양질의 포졸란(pozzolan)이다. 플라이 애시를 콘크리트에 섞으면 볼베어링처럼 작용하여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좋게 한다. - blended cement
포틀랜드 시멘트와 플라이 애시를 혼합한 것으로, 플라이 애시의 양에 따라 A종(5 ~ 10%), B종(10 ~ 20%), C종(20 ~ 30%)이 있다.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나 수화열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햄 콘크리트나 매스 콘크리트(mass concrete)에 사용한다.
포틀랜드 시멘트에 미분탄 연소 후의 부산물인 플라이애시를 혼합한 시멘트를 말한다.
물 속을 부유하는 미세한 생물의 총칭. 식물성과 동물성이 있다. 어류 등의 먹이가 되며 생태계 식물 연쇄에서 맨 아래 부분을 형성하는 중요한 존재다.
유영력이 미약하거나 전혀 없이 물 속에서 해류 및 파도 등의 움직임에 수동적으로 밀려다니는 작은 크기 생물을 플랑크톤이라 한다. 부유생물이라고도 한다.
유영능력이 없는 플랑크톤은 밑으로 침강하려는 속도를 최대한 느리게 하여 장시간 부유하기 위해서 단위부피당 표면적은 넓혀야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플랑크톤은 몸의 크기가 매우 작고 몸에 편모 등을 갖거나 군체를 이루어 생활한다. 그리고 몸의 세포 속에 지지로가 같은 밀도가 낮은 물질을 저장시키거나 무게가 가벼운 큰 액포를 가지고 적응하며 생활한다.
기획. 입안을 세우는 사람이며 설계자.
불규칙한 경계선을 갖는 도상(圖上) 면적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간단 기계. 즉, 도형의 외주에 따라서 측도침(測圖針)을 한바퀴 돌리고 그 때의 측륜(測輪)의 회전수에 의해 도형의 면적을 구하는 것으로, 꼼꼼히 사용하고 숙련되면 보통의 목적에는 충분한 정밀도가 얻어진다. 극식(極式)과 무극식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극식 면적계가 이용되고 있다. 보상 플래니미터라 부른다. - linear plani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