굵은 골재를 미리 프라이머로 프리코트하고 이것에 아스팔트를 가하여 혼합한 것을 깐 다음 그 위에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잔 골재의 혼합물을 깔아서 다지는 공법.
롤드 아스팔트 포장, 구스 아스팔트 포장에서 미끄럼 저항성, 내마모성, 내유동성 향상을 위해 쇄석을 살포. 압일할 때 미리 플랜트 등으로 쇄석에 아스팔트를 1% 정도 혼합해 두는 것. 아스팔트와 돌가루를 혼합하는 경우도 있다.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등의 조립식 구조재의 제품. [2]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각종 형태의 콘크리트 제품.
매스 콘크리트나 하계 등 온도가 높을 때의 시공에서 온도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냉각하는 것.
포스트 텐셔닝에 대한 용어. PC강재에 인장력을 주어 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 후 긴장을 풀면 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 부재 내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공법. 롱 라인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공장 제작에 적합하다.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방법의 하나. 콘크리트 거푸집 내에 PC강재를 소정의 인장력으로 당겨 둔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것이 경화된 뒤 PC강재의 장력을 해제한다. 그러면, PC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 PC강재에 부여된 인장력이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로서 주어진다.
미리 PC강선에 인장력을 가하고 그 주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굳은 다음에 인장력을 풀어 프리스트레스트가 가해지게 하는 것.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의 하나. PC강재를 긴장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경화 후에 PC강재와 콘크리트와의 부착에 의해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
긴장재를 먼저 긴장한 후에 콘크리트를 치고,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 긴장재에 가해 두었던 인장력을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