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암기로 천공할 때 생기는 암석의 파편을 구멍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압축 공기, 압력수가 쓰인다. 이들은 로드의 중공(中空) 구멍을 지나 비트에서 내어지는데, 비트에 두어진 구멍을 말한다.
구조물, 특히 현수교 등에서 보여지는 진동 형태의 하나. 진폭이 급격히 증가하여 파괴의 원인이 된다. 휨 진동만의 경우와 비틀림 진동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는데 각각 휨 플러터, 휨 비틀림 플러터라 한다.
[1] 선철을 만들 때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코크스 등과 함께 첨가하는 것. 석회석이 일반적이며 형석, 중정석(重晶石)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2] 피복재라고도 한다. 용접시에 다량의 환원성 가스를 발생하여 고온인 용접 금속의 산화, 질화를 방지하고, 유해물을 분해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플럭스는 대개 용접봉의 심선 둘레에 도포되어 있으나 자동 용접의 경우에는 분말 플럭스가 사용된다.
맞대기 용접 등의 양단부에 부착하는 보조판의 일종. 세라믹제의 블록으로, 누름쇠로 소정의 위치에 부착하고 용접 완료 후에 제거한다.
플레어는 스커트의 플레어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두 부재간의 플레어 부분에 하는 용접을 말한다. 철근이나 경량 형강의 용접에 쓰인다.
주름 용접 (-鎔接) 반대 방향으로 구부린 두 판의 1면을 접했을 때 부재간에 생기는 주름(플레어) 부분에 하는 용접.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절대 세골재율, 잔 골재의 입도, 컨시스턴시 등에 관한 부어넣기 용역도를 나타내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메인 거더의 구성 부재에 따른 교량 분류의 하나로, 강판 또는 형강을 조합하여 I형 또는 박스형 단면을 구성한 것을 플레이트 거더라 하며, 이것을 메인 거더로 사용한 교량을 거더교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