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447/1604)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말한다. 기상 관측에서는 평균 풍향을 쓴다. 풍향계에 의해 16방위로 나누고 있다.
비행장에서 풍향과 풍속을 표시하는 데 쓰이는 기구. 지상 이동 중의 항공기 또는 제어탑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설정된 어떤 특정한 기준이 되는 방향과 풍향이 이루는 각도.
1매에서 여러 매 이상의 풍판을 수직축 주위에 회전시켜 풍향을 아는 것 (1분간의 평균 풍향을 구한다).
(지구는 주위를 대기로 싸여 지상의 어느 점에서는 그 위에 있는 공기 기둥의 무게에 상당하는 압력을 받는다. 이 대기의 압력을 기압이라 한다.) 어느 2점 사이에서는 공기의 기압이 큰 점에서 적은 점으로 흐르고자 한다. 이것이 바람이 원인이 된다. 일기도에 그려진 등압선은 기압의 비슷한 점을 선으로 연결한 선이기는 한데 등압선에 수직 방향의 기압 변화에 대한 비율이 큰 곳은 풍속이 크다. 바람의 방향은 북 반구에서는 저기압의 중심을 좌로 보면서
풍도(風圖) 중 풍향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수년 간의 바람의 관측 자료를 16방위로 나누고, 풍향 횟수의 총계를 적당한 척도로 방향선상에 잡아 그 종점을 연결한 선. 방파제의 배치나 구조, 비행장에서 활주로의 방향 결정 등에 이용된다.
바람의 방향과 속력을 측정하는 관측 장비이다. 풍속은 보통 바람개비를 이용해서 회전수를 계산함으로서 측정하며, 풍향은 깃의 끝에 추를 달아서 수평으로 자유로이 회전시켜 그 축의 회전을 기록장치로 연결하여 측정한다.
암석이 그 생성조건과 다른 현재의 지표 조건에서 안정 상태로 되도록 세립화하고 화학 변화되어 가는 과정의 총칭. 물리적 풍화와 화학적 풍화로 분류된다. 물리적 풍화는 온도 변화, 동결, 물, 얼음, 공기, 생물에 의한 파괴, 지각 운동으로 세립화되는 것을 말하고, 화학적 풍화는 물, 공기에 의한 산화, 수산화 등의 화학 변화를 말한다.
암석의 풍화에 의해 생긴 토양이 모암 위에 쌓여 있는 것.
아스팔트를 냉각했을 때 취화가 시작되는 온도. 이 값이 낮을수록 저온에 대한 특성이 좋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