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446/1604)

기류 중에 두어진 구조물에 작용하는 압력을 말한다.
어떤 풍속 분포를 가진 풍역이 임의의 속도로 진행하는 상태를 시간 및 장소의 좌표로 나타낸 것. 풍역의 이동이 큰 경우의 파의 추산을 하는 윌슨법에 이용되고 있다.
(1) 풍적 퇴적물로 구성되는 토층. 일반적으로 입경(粒徑) 이 비교적 균등하다.(2) 바람에 의해 운반되어 퇴적한 토층. wind laid deposit
도시 계획 구역 내에 도시의 자연 환경의 유지를 목적으로 하여 지정하는 지구.
자연 풍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정되는 지구. 이 지구 내에서의 건축 행위 또는 토지의 형질 변경, 수목 토석의 채취에 있어서는 풍치 유지상 필요한 규제를 할 수 있다.
보안림의 일종으로, 사찰. 명소 또는 사적에 풍치를 돋구기 위하여 설치된 삼림.
바람이 부는 해상에서 직접 그 바람에 의하여 일어나는 파도를 말하며, 풍랑이라고도 한다. 이에 비해서 그 장소에 바람이 없어도 멀리서 전해오는 것은 너울이라 한다. 이 둘을 비교하면 풍파는 파의 마루가 뾰족하고 파장과 주기는 비교적 짧지만, 너울은 파의 마루가 완만하게 보이고 파장은 수십m, 길 때는 100m에 달한다. 주기도 풍파의 짧은 것은 2초 정도인 데 비해서 너울은 가장 짧은 것이 5~6초이다. 풍파의 크기는 풍속, 연취시간, 취송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풍속이 23.2cm/s이하일 때는 고기비늘 모양 등의 세파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표면장력파이다. 풍속이 이 이상이 되면 풍파가 점차로 발달하기 시작해서, 1m/s 정도의 풍속이 되면 파장 5~6cm의 비교적 규칙적인 세파가 나타난다. 풍속이 1~2m/s이상이 되면 세파는 보통 풍파라고 하는 중력파로 변하고, 파의 마루가 점차로 뾰족해진다. 풍속이 3~5m/s가 되면 마루가 깨져서 백파가 된다. 풍속이 10m/s이상이 되면 비교적 큰 파는 깨지고 해면에 거품조각이 나타난다. 또한 풍속이 20m/s이상이 되면 조그만 산과 같은 파의 마루로부터 찢겨진 물안개가 일면에 펼쳐진다. 풍속 W(m/s)와 풍랑의 파고H(m) 사이에는 H=0.174W의 실험식이 성립된다.
바람이 어떤 구조물에 부딪히면 구조물은 작용력을 받게 된다. 이것을 풍하중 또는 풍압이라 하며, 이론적으로는 풍속, 압력계수, 노출계수와 단기돌풍의 영향 및 구조물의 동역학적 응답을 포함한 돌풍계수 등에 대한 통계자료에 의해 추출된다.
구조물 주위에 바람이 불 때에 받는 힘. 설계용 풍하중은 기준 풍속에 의한 바람이 속도압과 수압면의 풍력 계수를 기본으로 하여 각종 계수를 곱해서 조립된다.
바람의 방향을 말한다. 어느 지역의 풍향과 풍속을 16방향 마다 제각기의 출현율을 구해서 그림으로 나타낸 것에 풍황도(또는 풍향풍속도)가 있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