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혹은 변수를 유사성의 지표에 따라서 여러 개의 집합(클러스터)의 분류. 유형화하기 위한 통계 해석 수법.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접속. 차단을 조작하는 장치. 맞물림 클러치, 마찰 클러치, 전자(電磁) 클러치, 유체 클러치 등이 있다.
차량의 회전력을 끊거나 이어 주는 기구를 말한다. 클러치에는 조오 클러치(jaw clutch), 디스크 클러치(disk srutch), 이크스팬선 클러치(expansion clutch), 플리 호일 클러치(freewheel clutch), 등의 기계식 외에 유체클러치, 전자(電磁)클러치 등이 있다.
인장재의 이음쇠의 하나. U자형 철물의 밑부분에 강봉을 비틀어넣고, 열린 부분에 접합하는 철물을 끼우고 볼트 등으로 죈다. - eye bar
수돗물 중 발암성 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의 3분의2 정도는 클로로포름 이다. 염소와 유기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데, 수돗물 오염과 비례하 여 수도구로부터 트리할로메탄이 나오고 있다. 예전에는 의약품(마취 제)으로 사용되었지만 요즘엔 용제로 쓰이며 마취 작용이 있어 범죄에 도 자주 쓰인다.
우회전하기 위한 루프램프(loopramp)와 그 바깥측에 좌회전을 위한 램프를 좌회전 형태로 접속하는 4지(四枝) 교차의 인터체인지.
곡선 길이에 비례하여 곡률이 증대(곡률 반경이 감소)하는 성질을 가진 곡선의 일종. 고속도로의 완화 곡선의 선형으로서 이용된다. 곡선 길이를 L, 곡률 반경을 R라 할 때 RLA2(일정)의 관계가 있다. A(파라미터)가 커지면 곡선 길이 L에 대해 곡선의 휨은 완만해진다. 나선 곡선의 일종이며, 직선과 원 사이의 완화 곡선만이 아니라 선형 설계의 요소로도 사용된다.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반경과 곡선부 시점으로부터의 곡선 길이의 곱이 일정한 곡선. 고속 도로 등의 직선부와 원호부를 잇는 완화 곡선으로서 사용한다.
클로소이드를 노선의 중심선으로 정하는 방법. 주접선으로부터 오프셋에 의해 설치하는 경우 x, y의 값을 단위 클로소이드표의 값을 근거로 구한다. 말뚝 간격은 20m이다. 그 밖에 임의의 현으로부터 오프셋에 의한 설치법, 극각 동경법(極角動徑法), 편각 현장법(偏角弦長法) 등이 있다.
크레인더 나선이라고도 말하는 나선곡선의 일종이다. 곡률은 곡선의 길이에 비례해서 커지는 곡선인데 일정한 속도로 핸들을 꺾으면서 같은 속도로 주행하는 자동차의 궤적이 이 곡선에 일치하므로 도로의 완화곡선에 잘 이용된다. 계산은 복잡하나 도로공사에서는 클로소이드 곡선표를 만들어서 사용의 편리를 도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