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을 이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으로, 트럭 크레인, 크롤러(crawler) 크레인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문형(門形) 크레인, 케이블 크레인 등도 있다. 그러나 좁은 의미로는 주로 플레이트 거더나 PC거더의 가설에 이용되는 공법으로서 1경간(徑間), 연속 거더, 게르버(Gerber) 거더 등의 경우는 1경간이상으로 미리 조립되어 있어 기중기를 써서 단숨에 가설하는 방법을 말한다.
청소용 등 특수 용도로 쓰이는 펌프의 하나. 고형물이 다량 혼입되어 있는 농후한 오염수를 배출할 때 사용하며, 폐색 등의 장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특수한 형상의 날개차를 부착하고 있다.
약 1%의 크롬과 약 0.8%의 망간의 합금강.
곡율반지름 r와 시점에서의 곡선길이 ℓ와의 곱이 일정한 곡선을 말한다. 정수를 A2라 할 때 A를 표축(parameter)이라 하는데 A의 값에 응한 크로소이드는 무수히 있으며 도로의 완화곡선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속도가 일정한 자동차가 등각도로 핸들을 꺾었을 때의 궤적이 크로소이드 곡선이 된다.
평행 또는 이와 비슷한 인접 선로간에 연결하는 선로. 2조의 분기기와 이것을 접속하는 선로로 구성된다.
[1] 상하가 오수(汚水)의 혼입에 의해 오염되는 것. 예를 들면 지중 매설관의 누설로 오수가 섞인 지하수의 수압이 배관계보다 높은 경우라든가, 호스 끝이 세탁수 중에 담겨져 있는 경우 등에 상하의 오염이 생기는 일이 있다. [2] 관 이음의 하나. 단주철제의 십자형으로, 나사 형성의 이음을 말한다.
moment distribution method
분기기(分岐器)의 일부로, 바퀴가 레일을 횡단하는 부분을 말한다. 크로싱은 구조, 재질에 따라 고정 크로싱, 가동 크로싱, K자 크로싱, 가동 K자 크로싱, 망간 크로싱 등으로 부분된다. - turnout
크로싱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림처럼 노즈 레일 길이와 벌어짐과의 비로 표시한다. 크로싱 번수와 크로싱각의 관계는 표와 같다. - crossing angle
크로싱에 있어서 분기의 완급을 나타내는 지수인데 철차번호 또는 철차번수라고도 한다. 철차번호는 철차교점에서 철차의 후단까지의 길이(ℓ)와 철차후단의 개점(b)과의 비(Nℓ/b)로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