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M 방식은 최상공기를 찾아내는데 중점이 있다. 최상공기란 경제적으로는 공사비가 가장 낮은 기간을 말한다. CPM에서는 총비용을 직접비와 간접비의 합계로서 나타내어 직접비용선과 간접비용선을 구해 이합계인 총비용곡선의 최저가 되는 공기를 산출한다.
하천이나 바람 등의 작용으로 퇴적하여 생긴 암석의 총칭. 암석의 큰 분류에서는 화성암. 변성암 이외의 주로 수성암을 가리켜서 말한다.
함수비(%)를 변화시켜가며 규정된 일의 량으로 흙을 다졌을 때 얻어지는 최대의 건조밀도(g/㎤)를 최대 건조밀도 γdmax라 하고, 이 때의 함수비를 최적 함수비라고 한다. 도로 시공시에는 노체 또는 노상에 대한 품질관리의 중요한 항목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흙을 다지는데 있어서 최대의 건조밀도를 일으키는 함수비를 말하는데 일정한 다지기 방법으로 함수비를 바꾸면 함수비와 건조밀도의 관계는 다음 그림처럼 된다. 이 때 최대의 건조밀도를 일으키는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 한다. 이 값은 흙의 고유치가 아니라 다지는 방법에 따라 다르다.
미리 정의된 가치의 척도를 최대로 하는 대체안을 선택하는 것. 만족할 가치 척도의 수준을 달성하는 만족화와 대비된다.
네트워크방식의 각 액티비티에 대한 시작시각은 화살선의 근원이 결합점 시각에 의해서 명시된다. 결합점의 시각은 가장 빠른 것과 가장 늦은 것의 두가지가 있으므로 빠른값을 취한 것이 그 액티비티에 대한 가장 빠른 개시시각이다.
네트워크방식의 일정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최초의 결합점에서 소요일수를 가산하여 최종결합점에 이르는 계산을 최早시각의 계산 또는 일정의 전향계산이라고 한다.
네트워크방식의 각 액티비티가 끝나는 시각이 화살선 선단의 결합점 시각에 의해서 나타난다. 결합점 시가 가운데 가장 빠른 값을 취한 것이 그 액티비티의 최조종료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