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저면에 작용하는 상부 구조로부터의 접지압에 대하여 반력으로서 지반에서 구조물측에 작용한다고 가정한 힘.
지반의 단위 면적당 스프링 상수를 나타내는 양(kg /cm3). 지반의 스프링 상수에 대응한 계수.
지반에 기인하는 재해. 지반 진해(震害) 외에 광역의 지반 침하에 수반할 때도 있다.
지반을 구성하는 지층이나 토층의 층서(層序), 지하수의 상태, 각층의 토질 등을 밝혀 구조물의 설계. 시공의 기초적인 자료를 구하는 조사. 예비 조사와 본조사로 나뉜다.
지반 속에 약액. 시멘트 밀크 등의 응결제를 주입, 굳힘으로써 지반의 강도를 증가하는 방법.
지반에 발생하는, 혹은 발생하고 있는 진동의 총칭.
지진에 이해서 발생하는 지반의 피해. 사질토의 액상화, 지반 균열, 산사태, 부동 침하(不同沈下) 등이 있으며, 주로 흙쌓기나 연약 지반에서 일어난다. seismic ground failure
일반적으로 지반이 각종 요인에 의해 침하하는 현상의 총칭. 자연 현상으로서는 지각 변동. 해면 상승 등이나 재해에 의한 지변을 들 수 있다. 인위적 요인으로서는 지하수의 과도한 양수나 매립 하중에 의한 침하, 굴착에 따른 침하가 있다. 구조 설계상은 즉시 침하. 압밀 침하로 나누어서 생각되는 경우가 많도, 고른 침하와 부동 침하에대해 검토된다. land sinking
전단특성, 압축성, 투수성 등에 대한 지반토의 성질을 개량하는 공법의 총칭이다. 탈수에 의한 밀도증대, 다지기에 의한 밀도증대, 주입 등에 따른 고결공법 등이 있다. 넓은 뜻으로는 치환공법, 압성토, 말뚝 등에서 오는 원호활동의 방지도 지반의 개량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