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58/1604)

기중기의 수평 또는 비스듬하게 돌출한 선회 가능한 팔대의 부분.
사진기를 자상에 놓고 촬영한 사진.
ground service equipment의 약어. 공항의 에어 사이드 특히, 여객 터미널 에이프런에서 이용되는 장비를 GSE라 한다. 도착 항공기의 경우에는 주기(駐機) 위치로의 유도와 지상 견인, 주기와 보딩 브리지 또는 패신저 스텝의 부착, 제거, 수하물. 화물. 우편물의 취급, 기체 내외의 정리와 청소, 급수, 식료품 적재, 잔재. 오물 처리, 급유 등 매우 다양한 작업이 행히재고 있기 때문에 각종의 지상 작업 기재가 필요하다.
대형 구조물의 철골을 분할하여 현지에 반입해서 현장 조립에 앞서 조립하는 것. 또는 공장에서 가조립하는 것. tentative assembling
공중 사진 측량에 대하여 지상에서 실시하는 트래버스 측량, 3각 측량, 스타디어 측량, 평판 측량 등을 총칭한다.
전기 기기와 대지에 매설한 접지 전극을 잇는 배선을 하는 공사.
살아있는 생물에 농축되고 환경에 저항하며 장기 독성효과를 가진 물질로서, 인간 활동의 결과로써 환경에 들어가는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을 말하며, 일부 살충제 및 공업화학제 등이 속한다. 환경 중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생물 농축성이 높아 해양생태계 및 인간에 악영향을 끼치는 물질이다.
침투수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트렌치 모양의 배수구.
땅속 또는 지표의 물을 차단하거나 투수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기 위해 만드는 벽. 그 예로서, 투수성이 큰 지반상에 축조되는 콘크리트 댐이나 어스 댐에 있어서 본체의 바닥면 또는 에이프런의 아래로 돌출한 콘크리트 또는 강 널말뚝 등의 벽이 있다. 또 그 밖에 케이슨의 머리부를 수면 아래로 침설(沈設)하는 경우 시공 중인 케이슨 내에 물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슨 상부에 설치한 가설용 벽도 이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땅 속에 설치한 지수벽의 시공법으로 지하 연속벽 공법이 많이 사용되며, 충전재로서는 콘크리트 외에 점성토나 역청재 등을 사용한다.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하여 급수전(수도 꼭지), 양수기 등으로의 통수를 막거나 부분 통수하는 장치로, 청동 또는 황동제이다. - water supplying pipe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