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53/1604)

지표의 자연적 상태. 주로 기복을 말하여 지형이라 하기도 한다. hypsographic features - topographic features
토지를 1필지별로 주된 용도에 따라 구분한 명칭. 논, 밭, 택지, 목장, 수도 용지 등으로 구분한다.
택지, 논, 산림, 공중용 도로 등 토지의 이용 현황이나 주요 용도를 나타내는 분류 항목.
육지에 존재하는 천연 또는 인공의 물체와·항로표지 등을 이용하여 선박의 위치를 구하면서 항해하는 항법을 말한다.
지표의 물체 중에서 가옥, 교량, 도로 등의 인공적인 것. - topographic features
구조물을 받치는 지층(표토. 찰흙. 실트. 모래. 조약돌. 암반 등)의 총칭.
원지반의 토질 그 자체를 개량하는 것의 총칭. 주로 연약 지반의 지지력을 높혀 침하 성상을 변화시키고, 투수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다지기. 강제. 압밀. 탈수. 고결. 주입. 치환 등을 하는 것.
평판 재하 시험의 결과에서 어떤 침하량 Δ(cm)에 있어서의 하중 강도를 p(kgf/cm2)라 하면, p/Δ(kgf/cm3)로 지반 계수를 구한다. 재하판에 지름 30cm의 원판을 사용하여 침하량을 0.125cm(0.05in)로 한 경우의 지반 계수를 K30으로 표기하고 이것을 K값이라 한다. 지반 계수는 지반 반력 계수라고도 한다. coefficient of subgrade reaction - plate bearing test
지반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하중 p를 변형량 s로 나눈 값. kg/cm3 등의 단위로 나타낸다. 연직 지반 계수 kv, 수평 지반 계수 kh 등으로 나누고 있다. 지반의 강성(剛性)값을 대표하는 지표이다.
사면 방지공사에서 앞면을 시공하며 하상의 세굴을 막는데 사면 방지공법(그림)은 사면 덮개공의 파괴를 막으며, 지반 다짐공에 요구되는 특수한 성질은 1) 소류력에 견디여야 한다. 2) 내구력이 있어야 한다. 3) 구조는 알맞은 굴뇨성과 무게가 필요하다. 4) 알맞은 조도를 필요로 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