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보도자료

- 낙동강 생태복원 및 어업인 소득향상을 위한 -

수산자원연구소, 어린 동남참게 16만 마리 방류
부서명
수산자원연구소
전화번호
051-209-0922
작성자
노홍태
작성일
2023-06-29
조회수
366
공공누리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제목
◈ 6.29~6.30, 7.5. 부산낙동강 유역 일원에 어린 동남참게 16만 마리 방류… 2014년부터 동남참게 187만 마리 방류해 ◈ 낙동강하구 생태계 복원과 수산자원 조성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 향후 황복, 보리새우 등 다양한 수산 종자 방류 예정
내용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는 오늘(29일)과 6월 30일, 7월 5일에 걸쳐 부산 낙동강 유역 일원에 어린 동남참게 16만 마리를 방류한다고 밝혔다.

 

  이번 방류는 낙동강 하구 생태복원과 수산자원을 보강하여 어업인의 소득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북구, 강서구 등 낙동강 유역 어업인들과 함께 진행하며, 특히 7월 5일에는 한국수자원공사 부산권지사도 방류에 동참한다.

 

  방류되는 어린 동남참게는 전갑폭이 0.7cm 이상이며, 수산자원연구소에서 올해 성숙 어미를 자연에서 확보하여 산란 유도를 통해 부화시켜 50일가량 사육한 건강한 종자다.

 

  동남참게는 가을철에 번식을 위해 염도가 있는 기수역으로 이동해 4~6월경 하구 근처에서 교미하고, 부화한 새끼는 하천으로 다시 올라가 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찜, 탕, 게젓에 이용되며, 미식가들이 선호하는 인기 내수면 자원이다.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동남참게는 수산자원 조성에 이바지하여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낙동강하구 생태계 복원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품종 중 하나”라며, “부산지역 수산자원 회복을 위해 동남참게에 이어 황복, 보리새우 등 다양한 수산 종자를 방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수산자원연구소는 2014년 처음 동남참게 종자생산에 성공해 지난해까지 총 187만 마리의 동남참게를 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