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 환경생태계의 이상징후로 꿀벌이 사라진다 -
부산시, 「꿀벌 연구 연합체」 결성으로 대응 방안 모색!
- 부서명
- 농축산유통과
- 전화번호
- 051-888-5122
- 작성자
- 손승현
- 작성일
- 2023-04-16
- 조회수
- 409
- 공공누리
-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부제목
- ◈ 2022~2023 동절기에 전년과 달리 꿀벌의 월동 전 폐사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 4.10. 오전 시청 24층 회의실에서 모집공고를 통해 구성된 꿀벌 전문가 모여 「꿀벌 연구 연합체」 발대식 열어 … 향후 농가, 전문가 등 의견 수렴하여 대응 방안과 양봉산업 발전 전략 등 모색
- 첨부파일
-
- 보도자료(부산시, 「꿀벌 연구 연합체」 결성으로 대응 방안 모색!).hwp (파일크기: 906 KB, 다운로드 : 43회) 미리보기
- 내용
-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환경생태계 변화로 피해를 보고 있는 양봉산업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시는 지난 4월 10일 오전 10시 시청에서 ‘양봉 연구 민·관·학 협의회’를 전국 최초로 열고 「꿀벌 연구 연합체」를 결성하여 향후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
양봉 전문가와 농가에 따르면, 2022년과 2023년에 꿀벌의 월동 전 폐사가 심하다고 전했다. 이는 환경생태계의 이상징후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며, 이에 시는 ▲양봉농가의 피해 방지, ▲적절한 사양관리 교육, ▲양봉산업 육성 및 발전 등을 위하여 민·관·학 협의체를 구성하게 된 것이다.
이날 회의에는 시 관계 공무원과 양봉 수의사 정년기 원장, 낙동강 하구센터 김현호 곤충 박사, 한국양봉협회 부산지부 양호진 지부장 및 부산광역시 9개 양봉농가가 참석하였다.
회의에서는 ▲양봉 관련 민·관·학 협의체 운영방안 ▲월동 꿀벌 피해 상황 진단 및 피해 대책 ▲양봉산업 발전 전략 ▲선도농가 월동 피해 방지대책 공유 등 여러 현안 사항을 논의하였다.
시는 앞으로 농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이를 바탕으로 협력 방안 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연합체를 활성화하여 농가에 전파되기 어려운 전문 지식을 공유하여 꿀벌 폐사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 이동성 농축산유통과장은 “이번 민·관·학 협의체에서 제시된 의견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양봉농가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앞으로 농가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지속해서 마련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