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일정한 양의 흙에 포함되는 흙입자의 입경을 가로축에 대수 눈금으로, 그 입경을 통과하는 중량 백분율을 세로축에 보통 눈금으로 표시되는 곡선. grain size distribution curve
지반 중의 각 토층에 포함되는 흙입자 입경의 분포 성상(性狀)을 나타내는 개념. 입경 가적 곡선에서 읽을 수 있다.
토립자의 입도분포를 알기 위해서 입도시험에 대한 결과를 입경가적곡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편리하다. 가로축에는 각 입자의 입경을 대수눈금을 사용해서 나타내고, 세로축에는 통과하는 무게의 100분율을 나타낸다. 곡선이 가로 누워 있는 모양은 분포가 넓은 것을 표시하고, 세로서 있는 모양은 분포가 좁은 것을 나타낸다.
수조나 저수지로부터 관로 또는 수로로 유입할 때는 흐름의 박리로 인해 손실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입구 손실이라 한다. - loss of head
퇴적물이나 암석 속에 들어 있는 입자의 크기를 말하며, 입자가 구라는 전제하에서 구의 지름으로 계산한다. 체로 치거나 물 속에서 침전속도를 측정하거나, 현미경을 통해 면적을 측정한다. 퇴적학에서 쇄설물 입자 크기를 표현하는 데는 입도 구분 명칭이 자갈·모래·실트·점토 등을 사용하며, 다시 이들을 수식하는 용어로서 조립·중립·세립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흙의 점도를 조사하는 시험. 입경이 74μ 이상의 흙에서는 체 분석, 그 이하의 흙에서는 물 분석에 의하는 것이 보통이다.
흙, 모래, 자갈 등의 체질 시험 결과를 도시한 곡선을 말한다. 가로축에 체눈의 크기, 세로축에 체의 통과분을 취해서 그린다.
grain size analysis, particle size analysis
흙의 입도(입자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관한 시험. 입자가 큰 경우는 체질이 체질할 수 있으나 세립토가 되면 체질이 불가능하다. 입도 시험의 결과를 그림과 같이 가로축에 입경을 대수 눈금으로 잡고, 세로축에 그 입경보다도 작은 흙 입자의 전체시료에 대한 중량 백분율을 산술 눈금으로 잡아 나타낸 것을 입경 가적 곡선이라 한다. 통과 중량 백분율의 10%에 대응하는 입경을 10% 입격이라 하며, D10(mm)이라 표시한다. 세립토
흙이나 콘크리트용 골재 등의 입자의 혼합 상태를 살피기 위한 시험. 큰 입자는 체질 시험, 74μ 이하의 입자는 비중 측정법에 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