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청과 직접 하청 계약을 맺는 것, 혹은 그것을 맺은 하청인. 2차 하청, 3차 하청이라는 식으로 수차에 이를 때가 있다.
터널굴착 후 원지반의 이완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깊은 곳까지 미치게 되어 하중은 증대한다. 따라서 지질이 나쁜 경우에는 가급적이면 빠르게 강도가 높은 라이닝 콘크리트 공사를 시공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굴착 후의 본격적인 라이닝 공사에 시간이 소요될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임시로 라이닝 콘크리트 공사를 시공하게 되는데 이것을 일차복공이라 하고 그 후에 본격적인 복공을 이차복공이라 한다.
일차생산량 : 생산자에 의해 광합성이나 화학합성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에너지비율을 말한다. 일차생산자는 주로 녹색식물이며, 해양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이다. 해양에서는 영양염, 빛, 그리고 때때로 CO2가 일차생산에서 제한요인이 된다. 일차생산은 대개 단위면적과 시간에서의 gC로 표현된다. 해양표층의 일차생산량은 1년에 50~200gC/㎡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총일차생산량은 측정기간 동안에 일차생산자에 의하여 호흡으로 사용된 유기물도 포함된 총 비율이다. 순일차생산량은 측정 기간동안 일차생산자의 호흡을 뺀 일차생산의 초과 양이다. 즉, 일차생산자 안에 저장되는 유기물의 비율이다.
지표면에 하중이 걸려 지반이 압축될 때, 압축 방향과 간극수 흐름이 모두 연직 방향으로만 생기는 압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생긴다. [1] 점토 지반의 표면에 매립으로 흙 등이 광범위(점토 지반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하게 쌓인 경우. [2] 초연약(超軟弱) 상태의 점토가 자체 중량으로 압밀하는 경우.
1축 압축 시험에 있어서의 파괴시의 압축 응력. 토질 역학 등에서는 기호로서 qu를 사용하므로 단지 qu값이라 하기도 한다. uniaxial compression test
점성토에만 적용된는 시험으로, 전단 강도, 예민비 및 응력. 변형의 관계를 매우 간단히 구할 수 있다. 시료를 지름 3 ~ 7cm, 높이는 지름의 2 ~ 2.5배 정도의 원통형 공시체를 만들고, 축방향으로 압축하여 파괴시키는 시험. 압축중의 최대 축응력을 1축 압축 강도라 하며, qu로 표시한다. 다시 같은 흙을 일단 완전히 다시 섞어 같은 형으로 만들고 이것의 파괴 강도가 qur이라고 할 때, S
unconfined compression test
일축압축시험은 측압을 받지 않는 시험체의 최대 압축응력을 구하는 시험이며 삼축압축시험은 시험체에 이미 아는 측압을 더한 다음 여기에 상하방향의 축압을 가하여 응력과 변화 및 극한강도를 조사하는 시험이다. 앞의 것은 포화된 점성토 등에 적용되며 조작이 간단하다. 뒤의 것은 토질을 불문하고 충분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으나 조작이 복잡하다.
1매의 제도 용지에 1품목만 그리는 제도 양식. 공정의 계획이나 현장의 작업, 원가 계산 등에 적합하며, 도면의 관리에도 편리하다.
눈금을 읽을 때 생기는 오차. 이것이 과실에 의한 경우도 있지만 개인 오차 또는 우연 오차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