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토지 이용 계획상의 지구 분류의 일종. 항만에 접하는 구역으로, 헛간, 창고, 기타 항만에 관계있는 시설이 집중하고 있는 구역. 공정 도시 계획으로서는 임항 지구를 지정하고, 항만의 관리 운영상 부적당한 건축물이나 구축물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임항 지고 내는 상업 항구(港區), 특수 물자 항구, 공업 항구, 철도 연락 항구, 어업 항구, 보안 항구 등의 분구로 나뉜다. port district
항만의 이용이나 개발을 위해 항만법에 의해 지정된 지구. 상항구, 특수 물자 항구, 공업구 등으로 나뉜다. harbor district
부두 내의 상옥(上屋), 에이프런, 창고, 야적장으로부터 화물을 철도 수송하기 위하여 부두 지대로 들어가는 인입선. 일반적으로 부두 내의 철도는 상옥의 배후에 만든다.
(항만법 제2조) 임항구역이라 함은 도시계획 구역 밖에 있는 항만의 효율적인 개발 및 관리·운영을 위하여 항만법의 규정에 따라 관리청이 지정한 임항지역과 도시계획법 규정에 따라 항만시설의 보호를 위한 시설보호지구를 말한다.
원래는 강, 호소, 항구 주변의 토지를 뜻하지만, 최근 개발사업의 일환으로서 친수성(親水性)을 가진 토지 공간의 창조(임해 개발) 등의 의미로 쓰이는 일이 많다.
원료, 소재, 제품 등의 수송을 해운에 의존하기 위해 임해부에 설치되는 철강. 중화학. 에너지. 조선 공업 등의입지(단지).
가설에서는 터널을 분할 시공할 때에 본 구조물에서는 환기 입갱이나 맨홀 등으로 만들어져 자재나 기계의 반입. 반출에 쓰인다. 모양은 둥근것과 4각형이 있는데 시공법은 케이션공법과 지하연속벽공법 또는 강판널말뚝에 의한 흙막이 공법이 많다. 쉬일드공법에서는 발진용 혹은 도착용이 축조된다.
(1) 터널이나 지하발전소 등의 지하공동에 사람의 출입이나 재료의 반출입을 위해서 설치하는 수직 갱도를 말한다. 쉬일드의 발진, 도착용의 입갱, 하수도의 맨홀(manhole), 길이가 긴 터널의 분해시공을 위한 입갱 등이 있다. (2) 장대 터널의 작업 막장의 증설법으로서 횡갱이나 사갱(斜坑)을 채용할 수 없는 경우나 환기용 등의 본설갱으로서 쓰인다. vertical shaft
흙입자의 지름. 실제로는 각종 형상의 흙입자가 존재하지만 가상적으로 구형(球刑)이라 생각한 경우의 지름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