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종의 기입을 위해 도형에서 인출하는 선. 0.2mm의 가는 실선으로서 끝에 화살표를 붙인다. (2) 말뚝 박기 해머나 오거의 안내 망루로서 말뚝을 소정의 각도로 정확하게 타입하도록 타입 방향을 규제할 수 있는 가이드. 리더를 크레인 붐의 선단에 부착하고, 리더의 하단과 크레인 본체를 캐치 호크로 연결한 것을 현수형 말뚝 박기 망루라 하며, 리더를 2개의 백 스테이와 리더 브래킷에 의해 크롤러 크레인의 기본 기구에 지지한 것을 1주(柱) 2
가교(架橋) 지점 부근에서 교체를 조립하고 서서히 인출하여 가설하는 방법. 시가지나 하천의 출수기 등, 가설물(架設物) 설치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 이용된다. 세로 인출식, 이동 벤트식, 호취식(呼取式), 수연식(手延式), 연결식, 범주식(帆柱式) 등이 있다.
12분의 1피트(약 2.54cm)에 해당하는 야드. 파운드법에 의한 길이의 단위. 기호는 in. 라텐어의 uncia(12분의 1)에서 파생.
현재의 하상에 베이스 콘크리트(bace concrete)를 타설하고 퇴적층을 몇 m마다 보오링(boring)하여 철관을 세워 넣고 압축공기 또는 압력수로 퇴적층중의 점토분이나 세립부분을 제거한 후에 프리팩트 모르터(prepacked mortar)나 혹은 시멘트 밀크(cement milk)를 주입하여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보도(인도)나 광장 등의 포장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제의 조합 블록.
연속지중벽의 세로 이음부에 세워 넣는 파이프이다. 홈 벽을 굴착한 후에 굴착 홈의 한쪽 또는 양쪽 끝에 이것을 세워서 넣고 일시적인 콘크리트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빼낸다. 장시간을 방치하면 뺄 수 없게 되므로 콘크리트 경화에 맞추어서 접동 등으로 콘크리트의 테두리와 끊어둘 필요가 있다. 시공이 간단하고 너무 깊지않은 연속지중벽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속도로가 다른 고속도로 또는 일반 도로와 접속할 때 고속도로와 평면 교차하지 않도록 고안된 부착 도로로서의 접속부. 대표적인 형식에는 클로버형. 다이아몬드형. 트럼펫형 등이 있다.
순차 번역. 실행 형식의 처리 방법으로, 프로그램 개발시의 처리 효율은 좋지만 반면 실행 속도가 느리다.
프리펙트 콘크리트의 시공에 있어서 골재간에 주입하는 페이스트의 침투를 좋게 하기 위한 혼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