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과 한 점(특히, 단선)을 교대로 배열한 선을 말한다. 중심선. 절단선. 기준선. 경계선. 파단선. 참고선 등에 이용된다.
{잔 골재. 굵은 골재 및 그 비율이 일정한 콘크리트 1m3에 사용하는 수량이 같다면 그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는 시멘트의 사용량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다.} 이것을 일정 단위 수량의 법칙이라 한다. 콘크리트의 배합을 수정할 때 이용한다.
네트워크방식에 있어서 공기를 계산하여 크리티컬 파치(critical path)를 구하기 위하여 각 작업에 대한 소요일수를 조사해서 계산한다. 매트릭스에 의한 방법과 대형의 네트워크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방법을 이용한다.
홍수 조절 방식의 일종. 홍수 유입량 중 무해 유량 이상에 관하여 피크 유량까지는 유입량에 일정률로 저류를 하고 피크 이하는 일정량을 방류할 것. 그 시각에 유입량만으로 조작할 수 있다.
물매가 있는 궤조(軌條)에서 열차의 브레이크 장치 고장 등에 의한 열차 일주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물매 도중의 궤조에 어느 거리마다 설비한 기기.
반일주조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하루에 한번 고조와 저조가 있는 조석을 말한다.
cooling of concrete
흙에 일정한 하중을 가했을 경우 주로 간극에서 물이 유출되는데 이 때 생기는 체적의 감소를 말한다.
트러스 부재의 응력을 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재 양단이 마찰이 없는 회전이 자유로운 힌지라고 가정하며 이런 상태에서 구한 응력을 1차 응력이라 한다. 그러나 실제로 트러스의 격점(panel point)은 거싯 플레이트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 부재의 양단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부재에 부가적인 응력이 생기는데 이것을 2차 응력이라 한다.
전지의 일종. 방전해 버리면 다시 원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 전지를 말한다. 예를 들면 건전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