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 레일의 끝에 있어서 레일의 신축량을 처리하기 위하여 특수한 구조의 신축 이음을 사용하지 않고, 25m 이하의 보통 레일 을 3개 정도 부설하여 그 이음 사이의 여유 구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처리하는 수가 있다. 이것을 완충 레일이라 하며, 온도 변화가 적고 복진의 염려가 없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두 물체가 충돌할 때의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것. buffer
스프링. 고무. 유체 등을 이용하여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기계적인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 종류로는 고무 완충기, 스프링 완충기, 마찰 완충기가 있으며, 또 스프링 완충기에는 금속 스프링 완충기, 공기 스프링 완충기, 마찰 완충기에는 기름 완충기가 있다. shock absorber
팽창성의 산지에 대한 방법의 하나로 복공의 뒷 쪽에 산지의 팽창분만큼 틈 사이를 남기는 완충공법이 있다. 이 틈 사이에는 베어낸 나뭇가지 등의 완충재가 이용되고 있으나 낡은 공법이다.
충격을 완화하는 곳을 말한다. 예를 들면 물이 떨어지는 부분을 잠기게 하여 물의 충격을 완화하거나 터널에서 배수가 주류와 합류하는 부분의 단면적을 넓혀서 유속을 감소시키는 방법 등을 쓴다.
지표의 경사가 완만해서 평이한 지역을 말하는데 하수관로의 접합에 있어서 완평지역에서는 관저접합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관정접합에는 타설하는 깊이가 점차 더해지는 때문에 시공비의 적정과 함께 유지관리면에 영향을 주게 된다.
노선에 있어서 원곡선부와 직선부 사이에 설치되는 곡선. 차량이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갑자기 진입하면 원심력 때문에 위험이 생긴다. 그래서 곡률 반경을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직선과 원곡선을 연속적으로 잇는다. 클로소이드(clothoid).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lemniscate)등이 이용된다.
도로의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하는 공사. [1] 완화 곡선 구간에서 한다. 양면 물매에서 편물매로 서서히 전환한다. [2]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며 주행 감각을 쾌적하게 한다.
도로의 직선 부분에서 곡선부로 자동차가 원활하게 주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구간. 곡선 반경이 무한대(직선)에서 유한으로, 직선폭에서 곡선부의 확대 폭으로의 조절, 곡선부의 편물매와 직선부의 횡단 구배와의 조절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도로의 평면선 모양이 직선에서 곡선, 곡선에서 직선 또는 곡율이 다른 곡선끼리 접속되는 부분에 클로소이드(clothoid)곡선이나 3차 포물선 등의 완화구간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사고방지 및 쾌적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것인데 이 완화구간의 곡선을 완화곡선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