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위를 단위 하중 P1 이 이동할 때, 보의 반력 또는 어떤 지점에 있어서의 휨 모멘트. 전단력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기 위한 선도. 그들의 크기는 하중이 작용하는 단면하의 종거(縱距)로서 주어지며, 실제 하중이 작용했을 때 그 하중과 종거를 곱한 것이 반력이나 휨 모멘트의 크기가 된다.
우물로부터 물을 퍼올릴 때 주위의 지하 수위가 저하하지만 우물을 중심으로 지하 수위가 변화하지 않는 범위를 반경 R로 그린 원. 영향권의 반경을 정확하게 알기는 곤란하며, 대략 우물 반경(r0)의 3,000 ~ 5,000배 또는 500 ~ 1,000m 정도이다.
교대(橋臺)에 접하게 좌우 흙막이용으로 시공하는 돌쌓기. 익벽(翼壁)이라고도 한다. 교대 양측의 축제(築堤)의 비탈 기슭이 앞면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한다.
원구류·어류·양서류의 몸 양쪽에 머리부에서 꼬리부에 이르기까지 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일종의 촉각기를 말하며, 측선이라고도 한다. 옆줄을 통해 물체를 감지하거나 수류의 압력·유속·방향을 알 수 있다.
점성토의 교란에 의한 강도 저하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불교란 시료의 1축 압축 강도 qu와 되비빔 후의 1축 압축 강도 qur의 비를 써서 Stqu+qur로 나타낸다. - sensitive clay
- unconfined compression test
다목적 댐에 있어서 여름철 홍수 때 저수지의 수위를 제한 수위 이하로 억제하여 저수지 운용을 하지만, 홍수 경보가 발령되면 필요에 따라 댐의 방류 설비에 의해 저수지의 물을 방류하여 수위를 떨어뜨리고 홍수의 내습에 대비한다. 이 방류를 예비 방류라 한다. 홍수가 오면 홍수의 피크 부분을 댐에 저장함으로서 커트하고 나머지를 하류로 방류하여 홍수 조절을 한다. 이수(利水) 댐에 있어서도 필요한 경우는 홍수에 대비하여 예비 방류를 하고 홍수에 대한 처리
오수 정화 장치에서 부패 작용에 의해 액화한 오수에서 부유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조.
본조사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기초적 정보를 얻으려는 사전의 조사. 기존 자료의 수집 정리. 현지답사. 간단한 현장 조사 등을 한다. 특히 도시내의 공사에 있어서는 상하 수도관 등 각종 매설물 조사 및 지중에 매입된 채로 있는 불발판에 대한 폭탄 조사는 본조사시 및 공사 기간 중의 불측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불가결하다.
지방자치단체는 예측할 수 없는 예산외의 지출 또는 예산초과 지출에 충당하기 위하여 예비비를 편성하여야 함 예산은 아무리 정확하게 견적되었다고 하더라도 예측하지 못한 사태가 발생하며, 실제로 예산집행과정에서 과부족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설치된 제도임 예비비의 계상은 일반회계 당초예산규모의 1% 이상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음 예비비의 사용은 지방의회의 승인없이 자치단체장의 결재를 얻어 집행할 수 있으며 예비비의 집행결과는 다음연도 지방의회의 승인을 얻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