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석권의 하부에 위치하며 점성 유체적 성질을 지닌 층으로서, 맨틀의 일부분이며, 두께는 약 200km이다. 암석권의 판들은 약권 위에서 움직이며, 약권 아래의 맨틀은 중간권이라 한다.
주입 공법의 일종으로, 지반 내에 약액을 침투 주입시켜 그 겔(gel)화에 의해 지반의 지수(止水) 또는 강도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주입. 사질토에는 주로 지수를 목적으로 하는 침투 주입을, 점성토에는 강도 증가를 목적으로 하는 맥상(脈狀) 주입을 한다. 댐의 기초 개량 및 실드 공사에 있어서의 침하. 블로 방지, 흙막이의 토압경감 등의 보조 공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입재에는 규산염, 크롬 리그닌, 아크릴 아마이드 등의 계통이 있으며, 시멘트,
지반 개량 공법의 하나. 물유리 등의 약액을 지반에 주입하는 공법. 지하수의 물막이나 굴삭면, 터파기 저면의 안정 등 지반의 세기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워터 글라스(water glass) 등의 약물을 지반에 주입하여 토립자를 고결해서 지반의 투수성을 감소시켜 강도를 증가시키는 공법이다. 연약한 지층의 터널의 굴진이나 하천교각의 세굴방지와 실트(silt) 굴진부의 누수방지 등에 이용되고 있으나 지하수의 오염에 대한 공해방지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약액을 주입하는 것은 지반을 개량하는 하나의 공법인데 약액등을 지반에 넣어 지반의 투수성을 줄이거나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행한다. 터널 굴착의 보조공법에도 쓰이고 있으나 약액의 정의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다.
약액을 지반에 넣어 지반의 투수성을 감소시키거나 또한 지반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약액으로는 물유리계, 리그닌계, 우레탄계 등이 있으나 잠정적인 지침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약액은 물유리계이며, 극약물 또는 불소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다. 주입방법은 로드법과 2중관법 등이 있다.
촬영한 상태 그대로의 공중 사진을 단순히 집성한 것. 광범위한 지역을 개관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 photographic map
4대 주요분조(M2, S2, K1, O1) 각각에 의한 최고수위 상승치가 동시에 발생했을 때의 고조위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