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748/1604)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또는 인장 강도를 조사하기 위한 공시체(供試體)로서 그 높이가 저름의 2배인 원기둥 모양을 하고 있다. 테스트 피스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cpmpressive strength
압축 시험. 휨 시험. 인장 시험 등의 강도 시험, 크리프 시험, 기타 역학적 시험을 하기 위하여 만든 일정한 형상 치수의 재료. 이들의 시험 결과는 그 형상 치수에 의하여 어느 정도 달라지므로 KS 이외의 규정으로 시험편을 만들 필요가 있다.
냉간에서 소성 가공을 받은 강재 (鋼材) 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경화하여 항복점이 상승하는 현상. 연성은 저하한다.
광역단체인 시・도는 시・군・구를 통해 시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고 시・군・구를 지도・지원하는 기능상 시・군・구에 대한 재정지원이 필요하게 됨. 이러한 필요에 따라 지방재정법에 시・도는 시책상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또는 시・군・구의 재정사정상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보조금할 수 있는데, 이를 시・도비 보조금이라 함

 

조원 재료로서 유통상 다루어지는 식물의 크기. 형질을 말하며, 형상 치수라고도 한다.
엽록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플랑크톤을 말한다. 규조류, 인편모조류, 쌍편모조류, 남조류 등이 식물플랑크톤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식물플랑크톤은 빛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표층으로부터 약 200m까지의 유광층에 분포한다. 식물플랑크톤에서는 계절적 변화를 볼 수 있는데, 온대지방에서는 보통 봄·가을 2회의 대번식을 볼 수 있으나, 극지에서는 여름 1회의 번식뿐이다. 수온과 염분은 해수의 밀도 변화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므로 플랑크톤의 수직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어느 지역에 생육하는 식물의 집단 전체를 가리킬 때 쓰는 말. 식생을 식물 군락마다 구분하여 지도로 한 것을 식생도라 한다. 현존 자연 식생. 잠재 자연 식생 등이 있으나 단지 식생이라고 하는 경우는 현조 자연 식생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식재 수종(植栽樹種)의 선정이나 보호하고자 하는 지구의 결정을 판단하는 지침이 된다.
사면을 보호하는 공사의 하나인데 잔디등의 식물을 잘 육성시키기 위해 사면을 나무뿌리에다 단단하게 묶어 우수에 의한 침식의 방지와 땅 표면온도의 변화에 대한 완화, 동상붕락의 억제, 녹화에 의한 미적효과 등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단가가 헐 하므로 식물의 육성이 가능한 곳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면의 붕괴방지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식물을 사용하는 공법을 말한다. 식생공은 공사비가 헐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미관상 아름다움 때문에 비탈면의 보호공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공법은 떼붙임공, 줄떼공사, 평떼공, 종자 살포공사, 식생반공, 식생자루공사, 식생구멍공사, 식생 줄공사 등으로 분류한다.
조성된 비탈면의 보호를 위해 흙쌓기면에는 근지공(筋芝工)을, 절취면에는 장지공(張芝工) 등을 하는 것.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