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협회에서 발행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설계 및 시공표준을 나타낸 것이다. 교통사정에 즉응해야 할 진보된 설계 및 시공기술 및 수많은 경험을 살려 개정해 온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기술에 대한 지도서이다.
시멘트의 안정성을 위하여 시멘트 풀로 만든 것.
수화 반응에 의해 에트링가이트(ettringite) 또는 수산화 칼슘 등을 생성하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팽창시키는 작용이 있는 혼합재.
시멘트와 물을 섞어 반죽하여 만든 것. 콘크리트에서는 골재와 골재(잔 골재. 굵은 골재)끼리 서로 잘 부착되도록 접착 역할을 한다.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속에 있어서의 시멘트와 물의 중량비 c/w. 어떤 컨시스턴시를 가진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그 사용 수량(水量)이 일정한 경우 시멘트의 사용량에 의해 정해지며, 시멘트. 물비 c/w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이것을 시멘트. 물비설이라 한다.
cement water ratio
그라우팅(grouting)의 그라우트 밀트(grout milk)로서 시멘트와 벤토나이트의 혼합액을 사용한다. 순수한 시멘트 밀크보다 유동성이 적고, 블리딩(bleeding)도 잘 일어나지 않는다.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한 주입제이다. 강도가 높은 겔을 얻을 수 있으나 침투성이 강하다. 투수계수가 10°/sec정도의 지반을 침투주입한계라고 한다.
시멘트의 분말도는 비표면적으로 나타내고 비표면적은 1g의 시멘트에 대한 총표면적으로 나타낸다. 분말도가 미세한 것일수록 물에 잘 접촉하여 수화작용이 빠르고 조기강도가 크게 나타난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비표면적은 2300㎠/g 이상이고,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3000㎠/g 이상이다.
현지 재료 또는 이것에 보조재료를 더한 것에 시멘트를 첨가해서 처리하는 공법을 일반적으로 시멘트의 안전처리 공법이라 한다. 노상 혹은 노반 특히 상층 노반에 쓰이는데 그 강도의 증가나 내구성을 더하기 위해서 쓰이는 공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