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피동물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기관으로서, 운동·호흡·배출 등의 작용을 한다. 내부에는 외계의 해수·액체 등이 통하고 백혈구가 떠다닌다.
수온과 염분이 거의 균일하여 주위 해수와 식별할 수 있는 해수 덩어리를 말하며, 대기 중의 기단에 대응된다.
수괴를 결정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T-S 다이어그램이다. 온도 T를 세로축, 염분 S를 가로축으로 한 도표를 생각할 때, 어느 한 관측점에서 채취한 해수의 T와 S의 관측값은 도표상의 한 점으로 표현된다. 이처럼 T-S다이어그램상의 한 점으로 대표되는 해수를 수형이라고 한다. 또 T와 S의 값을 몇 가지 심도로 구하고, T-S다이어그램상의 각 점을 연결한 곡선을 T-S곡선이라고 한다.
대양의 T-S곡선을 비교하여 보면, 상당히 넓은 구역에 걸쳐서 비슷하다. 그리하여 거의 같은 T-S곡선으로 표현되는 해수의 덩어리에 대하여 수괴라는 개념을 부여한다.
지구표면에서 해양, 호소, 하천, 빙하, 지하수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물 전체를 수권이라 한다. 수권은 기권, 암석권과 함께 지구 구성의 한 요소가 되며, 크게 해수와 육수로 구분되어 진다. 해수는 수권 체적의 98%, 지표면의 71%를 차지한다. 그리고 육수는 전 질량의 98%를 빙하가 차지하고 있으며, 만약 빙하가 녹는다면 평균 해수면이 약 60m 상승하게 된다.
원통 또는 원뿔의 표면에 나선상으로 홈을 판 것. 암나사와 서로 조합해서 사용한다. - screw, internal thread
응축기를 통하여 흐르는 증기에 열을 전달시켜 기체를 액체 상태로 만드는 응축기.
수문학(水文學)에서 1년이라고 하는 경우 그것은 역년(歷年)이 아니라 건조 기간의 최후를 신년으로 한 1수년을 말한다.
육지 사이에 끼여 양쪽의 해양을 연결하는 좁고 긴 바다로서, 해협이라고도 하지만 수도는 주로 더 좁고 얕은 해협을 말한다.
한 국가의 통치기관이 두어지고 있는 도시. capital city
수도도관의 총칭이며, 도수관, 송수관, 배수관, 급수관 등을 가리킨다.
수도관을 오래 사용하면 관의 내면에 발생하는 녹에 의해서 관의 단면적이 감소하여 관로마찰에 대한 저항이 커지는 수가 있다. 그 때문에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관내의 크리닝(cleaning)이 필요하게 된다. 크리닝방법에는 다음의 3방식이 있다. 1) 기계적 방법 2) 화학적 방법 3) 폴리픽(poly pick)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