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물의 파손, 부식, 풍화, 마모, 누수, 침하, 경사, 이동, 기초지반의 선굴, 이상진동 등이 열차의 운전에 지장을 주거나 또는 여객의 공중안전에 지장을 미치게 할 우려가 있는 건조물의 상태를 말한다.
흙을 완전히 건조시켰을 때의 무게를 흙의 단위 부피로 나눈 값이다. γd ωs/V γt/(1+(ω/100)) γd : 건조밀도(g/cm), ω : 함수비(%), V : 부피(㎠), γt : 습윤밀도(g/㎤), 건조밀도는 흙을 다지는 정도를 구할 때의 중요한 수치이며 노체, 노반 노상에 대한 다지는 정도의 관리에 사용되고 있다.
흙의 절대건조 상태의 무게를 겉보기의 부피로 나눈 값이다. 흙다짐 등의 지표로서 이용된다. 함수비를 바꾼 각종의 시료를 일정한 방법으로 다질 때 최대의 건조밀도를 주는 함수비를 최적함수비라고 한다.
콘크리트는 습기를 흡수하면 팽창하고 건조하면 수축한다. 이와 같이 하중의 재하없이 습기가 증발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수축하는 현상
식육을 그대로 또는 이에 조미료 및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건조하거나
열처리하여 건조한 것을 말하며 수분55% 이하의 것을 말한다
(육함량 85% 이상의 것)
건축이 차지하는 토지. buiding site
건축물의 계획. 시공에 관한 측량. 대지(垈地)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한 조사측량과 설계를 현장으로 옮기는 측량으로 나눈다.
차량 운전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궤도 또는 도로상에 일정한 공간을 만들고 그 한계 내에는 구조물이 들어설 수 없도록 한 제한.
열차 또는 차량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궤도상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한계를 말한다. 철도 건설 규정에서 각종 건조물은 이 한계 내에서 만들어서는 안된다고 제한하고 있다.
고층 빌딩 건설에 의한 도시 재개발과 고속도로·교량공사 등으로 잔토는 물론 건설 폐재, 폐플라스틱, 금속 쓰레기가 대량 배출되는데 이를 건축 폐기물이라 한다. 최근 매립할 장소가 부족하게 되어 불법 투기가 눈에 띄게 늘고 있는데, 이것은 토양 및 하천을 오염시키며 악취·가스 등 각종 공해를 발생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