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의 처짐량을 인접하는 지점을 잇는 직선에서 잰 값을 새그라 하며, 새그와 지점간 수평 거리와의 비를 새그비라 한다.
연성 재료라도 단면에 새김눈이 있으면 쉽게 파괴하는 일이 있다. 그러한 성질을 말한다.
[1] 교량 : 현수교 등에서 케이블을 지지하고 그 방향을 바꾸는 것. 가동식과 고정식이 있으며 탑정(塔頂) 새들의 경우, 주탑 하단의 조건에 따라 상하단 모두가 고정 힌지의 탑, 상단 가동 힌지 하단 고정 힌지의 탑, 상단 고정 힌지 하단 가동 힌지의 탑 등 3종류가 있다. 현재는 거의가 마지막 형식이며 가요 지탑(可撓支塔)이라고도 한다. 새들은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또한 케이블의 연직 반력 또는 수평 반력을 충분히 탑으로 전달하는 구조이
주기(駐機) 방식의 기본형의 하나. 그림처럼 게이트 라운지를 에이프런에 위성 모양으로 배치하고 그 주변에 주기시키는 방법. 스폿(spot) 수를 어느 정도 늘릴 필요가 있는 대규모 공항에 적합하지만 수요의 변화에 대한 자유도가 별로 없고 에이프런의 융통성이나 확장성이 적기 때문에 여유 있는 계획을 할 필요가 있다. - parking variations
1ℓ 속에 백금 1mg을 포함하는 황갈색의 색도 표준액을 1도(度)로 하여 비식(比色)에 의해 구한다. 자연수의 경우 물이 색을 띠는 것은 점토나 부식물에 의한 황갈색의 것이 대부분이다. 저수지에서는 조류(藻類)가 번식할 경우 녹색 내지 갈색이 되는 수도 있다. 공장 배수가 유입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른 색을 띤다.
물의 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결정적인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물속에 백금이 1ppm들어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색을 1도로 표시함. 색도 표준 용액은 염화백금산칼륨 2.49g 및 결정 염화 코발트 2.00g을 염산 200㎖에 용해시켜 1ℓ로 한 것을 1,000도로 하여 조제하고, 이 표준액을 희석, 검수의색과 비교함.
천문항법시 선박의 천측위치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로서, 천측력에 실려 있는 57개의 항성과 기타 천체들의 고도와 방위의 근사치를 구하기 위해 9장의 고도 방위판·1장의 자오선각 적위판·장의 항성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하고 있다.
식물세포의 세포질 안에 있으면서 색소를 만들거나 색소를 함유한 세포 소기관을 말한다. 버섯·박테리아·곰팡이 등의 비녹색식물이나 남조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식물에 색소체는 존재하며, 색소를 포함하지 않은 색소체는 백색체라 하며, 엽록소를 포함하면 엽록체라 하고, 다른 빛깔로 된 것은 유색체라 한다.
어류가 적온 범위 내에서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봄에 난류를 따라 북상하는 정어리·꽁치·고등어가 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