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포두께는 도로를 구성하는 부재에 따라 다른데 대개 다음과 같다. 1) 노체는 마무리 두께 30cm 이하, 2) 노상은 마무리 두께 20cm 이하, 3) 하층 노반은 마무리 두께 20cm 이하, 4) 상층 노반은 마무리 두께 15cm 이하, 5) 석회(시멘트)의 안정처리는 마무리 두께 10∼30cm, 6) 머캐덤 공법은 마무리 두께를 4∼8cm로 한다.
불도저 등으로 흙을 거의 평평한 층으로 깔아 넓혀 다지는 경우의 1층의 두께. 시공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0 ~ 50m로서 다짐 두께는 20 ~ 30cm 정도로 한다.
면적을 구하고자 하는 지역을 3각형으로 구분하고, 각 3각형의 변 길이를 실측하여 헤론의 공식에 의해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 - Heron's formula
유량 측정용 둑 중 통수 단면이 도립(倒立) 3각형인 것. 유량은 대략 월류 수심의 5/2승에 비례하기 때문에 4각 둑에 비해 유량이 작을 때도 정밀도가 좋다는 점이 장점이다.
3각점의 밀도의 조도(粗度)를 보충하는 점. - triangulation
3각형의 분포 형상으로 작용하는 하중.
고도각과 수평 거리로부터 계산에 의해 3각점 사이의 고저차나 표고를 구하는 간접 수준 측량. 두 점간의 거리가 멀다든지 고저차가 있어 직접 수준 측량이 곤란한 경우에 이용된다. 직접 수준 측량에 비해 정밀도는 떨어진다.
습지용 불도저의 이대(履帶) 슈. 단면이 3각형을 이루고 있어 3각 슈라 한다.
축척 눈금이 매겨진 3각형의 자. 각 면에 두 종류씩 계 6종류의 눈금이 매겨져 있다. 보통 1m의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의 축척 눈금이 있다.
3각 좌표상에서 점토. 실트 성분. 모래 성분의 비율로부터 흙을 분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점토 성분 10%, 실트 성분 45%, 모래 성분 45%의 흙은 롬(loa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