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체(입방체로 한다)의 어느 면도 기면 및 화면과 평행하지 않으며, 어떤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 요구되는 투시도.
투영선이 화면에 사교(斜交)하는 투영 또는 투영도. 캐비닛법. 카발리에법. 밀리터리법이 있으며, 어느 것이나 화면에 대하여 평행을 유지하는 면을 실제 길이와 실제 모양을 나타내고, 프리 핸드 스케치나 간단한 설명도 등에 이용된다.
구조수명간 상시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거더, 슬래브, 기둥, 벽, 지붕, 천장, 계단, 난간, 수도관, 기타 부속 시설물의 무게 및 고정된 사용장비 등을 포함한다.
dead load, fixed load
교량 자체의 중량에 의한 하중으로, 일정 불변이며 이동이 없고 항상 만재되어 있는 것. 사하중은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단위 중량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철도교에서는 부재 응력중에서 사하중이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작으나 도로교에서는 부재 응력중 사하중 응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사하중의 산출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또 각종 재료의 단위 하중은 각 시방서 등에 규정되어 있다.
발파에 의해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한다. 이것은 거의 해는 없으나 동시에 발생하는 적은 양의 NO, NO2, CO 등은 해롭다. 습기를 흡수했거나, 덩이가 된 폭약을 사용한 경우, 장약의 양이 적정하지 못한 경우, 채움이 불충분한 경우 등은 폭약이 불완전한 폭발을 해서 유독 가스의 발생량이 현저히 증가한다.
기기가 고장정지나 기능 저하되고부터 수리나 교환을 하는 것.
공중에 로프를 가설하고 여기에 운반 기구(차량)를 걸어 동력 또는 운반 기구의 자체 무게를 이용하여 운전하는 것. 일반적으로 운반 기구를 지탱하는 지색(支索)과 운반 기구를 운반하는 예색(曳索)을 사용하며, 운전 방식에 따라 두레박식과 순환식이 있다. 전자는 예색의 양단에 운반 기구를 부착하여 교대로 상하 왕복시키는 방식이고, 후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운반 기구를 송출하는 방식이다. 로프웨이라고도 한다. aerial
(1) 가공 삭조에 의하여 재료를 운반하는 장치. (2) - cable crane
달이 삭에서 다음 삭까지 또는 망에서 다음 망까지 이르는 시간의 평균인 29.530588일을 삭망월이라 한다. 달은 지구의 주위를 공전하고 지구는 달과 함께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데, 지구를 중심으로 달과 태양이 같은 방향에서 일직선에 있을 때를 삭이라 하며, 달과 태양이 반대 방향에서 일직선에 있을 때를 망이라 한다.
태음력에서는 삭 일을 매월 초하루로 정하고, 1태음월을 29일 또는 30일로 하고 있으며, 달은 삭망월을 주기로 하여 위치와 모양을 달리한다. 삭망월이 항성월보다 약 2.2일 더 긴 것은 달이 1항성월 걸려서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사이에 지구도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므로 달은 지구를 2.2일 더 돌아야 일직선상에 있게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