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594/1604)

해안에 접한 하구, 강 입구의 해안을 따라 표사(漂砂)의 위쪽으로부터 입구를 닫는 쪽으로 가늘고 긴 제방 모양의 모래가 퇴적하여 돌출한 지형. 사취는 하구에서 해안과 평행한 방향의 표사를 밀어 붙일 만한 흐름이 없는 곳에 생긴다. 일단 모래톱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파도의 회절에 의해 그 뒤쪽에 풍파가 없는 장소가 생기고 그곳에 모래의 퇴적이 일어나며 사취의 형성이 한층 더 조장된다.
서로 다른 방향의 차선이 4층으로 되어 교차하고 있는 것.
지층의 주된 층리면(面)과 경사져 교차하는 여러 가지 각도로 침적된 엷은 층의 누적. 모래언덕, 하구, 연안류가 대단한 해안에 침적된 모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천해파(淺海波)의 파랑 추정법의 하나. 이 방법은 브레드슈나이더법을 윌슨법과 동일한 개념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풍역이 이동, 변화하는 경우에 천해에 있어서의 풍파가 발달 및 감쇠하면서 진행하는 과정을 파고(H)- 취송(吹送) 시간(t) - 취송 거리(F) - 군속도(群速度)(G)의 그림과 수심(h)이 기입된 풍역도를 이용하여 도식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 Wilson's method
산사태와 같이 급격하지 않는 자연 사면의 지질학적 규모의 완만한 슬라이드. 이와 같은 사태는 지하수의 침투에 의해 일어나기 쉽다. 또한 제3기층에서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에 의해 일어나기 쉽다고 한다. slow slide
산사태나 돌발적 사태의 대규모적인 것. - land creep, slow slide
토지의 일부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의 총칭. 사태의 분류, 명칭은 일정하지 않으나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1] 사태(land creep), [2] 산사태(landslip), [3] 사면(斜面) 파괴.
사면을 안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인공의 구조물로 부족한 전단 저항력을 보완하는 것으로, 말뚝공, 앵커공, 샤프트공 등이 있다.
과거에 사태를 발생한 지형 혹은 사태를 일으키기 쉬운 지형. 급한 벼랑 밑에 규칙적으로 호소지가 존재하는 경우, 혹은 지형도 상의 등고선의 모양이 불규칙적인 개소는 사태 지형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현상으로 받아 들일 수 있다.
모래 사장 해안에서 파도가 파쇄하면 해저의 모래가 교란되고 이동하여 쇄파선(碎破線) 부근에 쌓여 높아지는 것.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