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을 마이크로 사진용 필름으로 촬영하고 그것을 확대하여 작성한 사진 도면. 항공 사진을 그대로 청사진으로 표현한 것도 사진 지도라 한다.
사진을 사용하여 피사체의 크기나 성질 등의 측정이나 조사를 하는 기술. 현재는 일반적인 사진 측량에 항공 사진이 사용된다. 또한 동일 지역을 중복하여 찍은 1쌍의 사진을 사용한 실체 사진 측량은 지형을 3차원으로 측정한다고나 판독하는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
사진 측량에서 카메라의 기울어짐이나 토지의 기복에 의해 생기는 사진상 위치의 어긋남(편위). 카메라 경사에 의한 사진상의 편위량 dℓ은, dℓ ℓ2 sinθ cos ψ / f
사진측량은 사진을 이용해서 지형이나 지물을 촬영하여 그 기록을 기본으로 지도상에 나타내는 방법이다. 공중사진측량과 지상사진측량이 있다. 사진측량은 사진기으 렌즈의 광심을 투영 중심으로 해서 중심 투영상만 얻을 수밖에 없으므로 이것을 정사투영상으로 고치기 위해 정밀한 기계에 의해서 변형을 수정하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
세립분(細粒分)이 50% 이상으로 모래 성분이 드드러지게 포함되는 찰흙, 또는 3각 좌표로 분류되는 사질 점토의 범위에 해당하는 흙을 말한다.
모래가 섞여 있는 점토층.
(1) 지반을 대별하여 사질토와 점성토로 나누었을 때의 용어. 흙의 물리적 성질로 판정한다. 일반적으로 찰흙. 실트분이 15% 이하, 흙입자의 함수비 20% 이하, 소성 지수 Ip가 7 ~ 10% 이하 등의 흙을 사질토라 한다. (2) 흙입자의 분류에서는 입경 2.4mm ~ 74u까지의 것을 모래라 한다. 지반을 구성하는 흙의 대부분이 이 범위인 것을 모래 지반이라 한다.
선박의 끝 좌·우현측의 45°이내 각도에서 비스듬히 따라오는 파도를 말한다.
돌붙임을 할 때 돌과 바탕 뼈대 사이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것. grouting
육지에서 바다로 뻗어나간 모래나 자갈질의 퇴적지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만의 입구에 생기며, 연안류가 운반한 모래가 만구에서 차례로 퇴적하여 해면상에 나타나서 사취가 된다. 사취의 끝은 보통 내만 쪽으로 꺾어지며, 사취가 뻗어나가 만구를 막으면 그 안쪽에 석호를 만들게 된다.